카테고리 없음

병의원인은 무엇일까요?

大醫 2012. 6. 28. 23:40

"병의 원인은  크게 두가지가 있다".

 외감병인과 내상병인 으로 나뉜다.

 

1.병인(病因)

* 원발성(原發性) 병인(病因)

① 외감(外感)병인 : 육음(六淫), 여기(癘氣 )= 전염성을 일으키는 사기(邪氣)를 통틀어 일컫는 말 . 발병이 급하고, 병세가 위험하며, 사망률이 높고, 전염성이 강한 특징이 있음. 기후, 환경, 개인 위생 및 예방, 사회적 요인들이 관련됨)

② 내상(內傷)병인 : 칠정내상, 음식, 노권(勞倦)

③ 기타병인 : 외상, 충수상(蟲獸傷), 약물의 부작용, 선천성인자(유전병)

* 속발성(續發性) 병인(病因) ① 담음(痰飮) ② 어혈(瘀血)

1장 원발성(原發性) 병인(病因)

1절 외감병인(外感病因)

* 육음(六淫) : (), (), (), (), (), () - 육사(六邪) ▷ 외감병의 주요한 발병인자 : 외감육음

* 육음(六淫) 발병의 특징

① 계절과 관계 : - 풍병(風病), 여름 - 서습병(暑濕病), 가을 - 조병(燥病), 겨울 - 한병(寒病), 서증(暑症) 외는 4계절 발생

② 환경과 관계 : 여름철 햇볕, 고온환경 - 서증(暑症), 장기간 습지 - 습병(濕病)

③ 단독 발병, 함께 발병 : 한사(寒邪)설사, 풍한(風寒)감기, 습열(濕熱)설사, 풍한습(風寒濕) 비증(痹症)(저릴, 류마치스 비)

④ 상호 영향, 전화(轉化) : 한사(寒邪)가 이()로 가면 열화(熱火), 습사(濕邪) 울결되면 열화(熱火)

⑤ 표()에서 이()로 침범 : 피부, 입 코로 침입 장부 손상

1) () : 육음지수(六淫之首)(병발생 선도, 백병의 근원), 내풍(內風) - 간양항진(肝陽亢進)

* 성질과 특징

① 양사(陽邪)이고 개설(開泄)(피모, 주리를 열어 기() 유출), 양위(陽位) 침입한다.

② 잘 이동하고 자주 변한다. : 관절통, 두드러기, 갑자기 발병, 병변이 빠름

③ 백병(百病)의 장() : 가장 흔하고 쉽게 인체에 침입한다. 한습조열과 동반 침입, 외감병인의 총칭

2) () : 외한(外寒) - 외계의 한사(寒邪), 내한(內寒) - 인체기능 양기(陽氣) 쇠퇴 시 발생

* 양허내한(陽虛內寒) : 쉽게 외한 침입하여 오래되면 양기 손상되어 내한(內寒)을 일으킨다.

* 성질과 특징

① 음사(陰邪)로서 양기(陽氣)를 손상 : 오한, 사지가 차다. 분비배설물이 맑다(수액온화실조). 설태(舌苔) 윤활하다.

② 응체(凝滯)되는 성질과 통증유발 : 양기손상(온화실조)되어 경맥이 막히고 동통(疼痛)이 생김

③ 수인(收引)을 주관 : () 운동위축, 주리를 막고 경락근육수축, 위기(衛氣)불통, 오한발열, 땀이 안남

3) () : 완전 외사(外邪), 계절성, 상서(傷署), 중서(中署)

* 성질과 특징

① 양사(陽邪)이고 무더운 성질 : 화열(火熱)에서 변화, 고열(高熱), 번열(煩熱), 면홍(面紅)

② 증발, () 소모, 진액 손상 : 땀구멍을 열어 땀 유출, 진액소모, 갈증, 소변 붉고 적다. 심신불안

③ 습사(濕邪)를 겸한다. : 차고 날음식 섭취하여 발열 번갈 머리 몸 무겁고 가슴 답답하다.

4) () : 외습(外濕), 내습(內濕) : () 운화기능실조 체내에 습()이 몰리는 증상

* 성질과 특징

① 음사(陰邪)이고 기() 순행저해 양기(陽氣)손상 : 흉강 어체(瘀滯) - 가슴 답답하다. 비위 어체(瘀滯) - 입맛 없고, 완복부 답답하다. 설사, 소변양 적어진다. () 양기(陽氣) 손상, 운화 실조, 설사, 수종증상 발생

② 끈끈하여 정체(停滯) 시킨다. : 대변 소변 시원하지 못하고 분비물 설태도 끈끈하며 오래간다.

③ 아래로 흐른다. : 수종이 하지에 나타난다.

④ 중탁하다. : 머리와 전신이 무겁고 피곤, 사지가 시큰하고 무거워 움직이기 싫다. 더럽고 탁한 증상. 눈곱, 묽은 대변, 점액 농혈 섞인 하리, 소변혼탁, 백대하 과다, 습진 진물 증상

5) () : 온조(溫燥) - 온열이 합해진 증상, 양조(凉燥) - ()에 한기가 합해진 병증

* 성질과 특징

① 건조하여 쉽게 진액손상 : 입코건조, 갈증, 거친 피부, 머리칼 윤기없음, 소변량 적고, 대변건조

② 폐를 쉽게 손상 : 폐진액의 윤활작용을 잃으면 발산 숙강기능에 영향, 마른기침, 가래가 적고, 목이 마르고 아프다. 호흡이 힘들다. 천식, 흉통

6) () () : 열은 온()이 점차 발전, ()는 열이 극도로 된 것. 풍열, 서열, 습열, ()는 계절성,

* 성질과 특징

① 위로 타오르는 성질 : 상염(上炎), 심화상염(心火上炎) - 혀끝 붉고 아프고, 입이 헤지고 구내염

간화상염(肝火上炎) - 두통, 눈 충열 붓고 아프다. 위화상염(胃火上炎) - 잇몸 붓고 피가 난다.

② 기(), 진액(津液) 손상 : 원기(元氣)손상, 전신성 기능감퇴, 기허 증상(숨 모자라고, 말하기 싫고, 맥이 없다)

③ 바람을 일으키고 혈맥손상 : 음액손상 근육자양실조, 고열, 혼미, 헛소리, 사지 오그라든다. 눈이 꼿꼿. 간풍내동(肝風內動), 화열의 사기가 혈맥손상하면 출혈증상

④ 종양을 발생 : 사기가 한 부분에 모이면 종양 붉어지고 붓고 열, 통증

⑤ 심신(心神) 혼란 : ()는 심()기운, ()주관, ()을 저장, ()이 혼란 가슴 답답, 불면, 번민, 혼미, 헛소리

2. 여기(癘氣)

* 전염성 있는 외사(外邪), 발병이 급하고, 병세위험, 사망률 높고 전염성이 강하다.

* 역려 발생 요인

① 기후 : 비정상적 기후, 오랜 가뭄, 장마, 홍수

② 환경 : 오물처리, 비 위생적 환경, 해충

③ 개인위생 및 예방격리 : 개인위생, 섭생, 체질증강, 환자격리

④ 사회요인 : 경제 문화 낙후지역

2절 내상병인(內傷病因)

1. 칠정내상(七情內傷)

(), (), (), (), (), (), () : 자극에 대한 정지(情志)의 반응 : 칠정내상(七情內傷), 정지상(情志傷)

1) 칠정과 장부기혈의 관계

2) 칠정(七情)발병의 특징

① 직접 내장(內臟)을 손상시킨다. ② 심()과 가장 관계가 깊다.

③ 기기(氣機)에 영향을 미친다. ④ 정지이상(情志異常)은 항상 병세를 악화시킨다.

(1) 칠정은 오장에서 생성되나 심하면 오장을 손상시킨다.

① 희상심(喜傷心) : 기가 흩어진다(()). 정신산란, 맥없음, 피곤, 산만, 심계, 실신, 광란

② 노상간(怒傷肝) : 기가 위로 치올린다(()). 소설기능 항진. 두통, 면홍(面紅), 이명, 토혈, 기절 / 다몽

③ 사상비(思傷脾) : 기 울결(()) 기 중초 집중 비기가 막혀 운화기능실조. 식욕 떨어짐. 소화불량, 불면,

④ 우비상폐(憂悲傷肺) : 기가 소모(()) 숨이 차고, 가슴 답답, 혼미, 맥이 없고 움직이기 싫다.

⑤ 공상신(恐傷腎) : 기가 무너져 내린다(()). 대소변 실금. 수화(水化) 부조화로 흉복부 창만, 불면

⑥ 경상심(驚傷心) : 기가 문란해진다(()). 불안정, 허둥, 심계, 답답, 숨이 차다. 정신착란

(2) 칠정과다는 오장손상, ()이 가강 관계가 깊다.

(3) 정지(情志)이상은 병정(病情)을 악화시킨다.

2. 음식 : 원인 병은 비()와 위()

(1) 음식무절제 : 부족하면 정기쇠약, 과식은 소화 흡수 운화기능을 넘어서 체내에 몰림

찬 음식 과다 - 한사로 담(), 기름지고 단 음식 - 내열(內熱) 부스럼증상

(2) 불결한 음식 : 식중독, 구토, 설사

(3) 편식 : 찬 음식 - 양기손상, 한습내부발생 복통 설사, 뜨거운 음식 - 비위에 열, 목마르고 대변이 굳고 치질 발생. 오미(五味)와 오장(五臟), 편식은 장부기능을 편성(偏盛), 편쇠(偏衰)하게 되어 내장손상 질병발생

* 짠 음식- 혈맥소통실조, 안색변화 쓴 음식- 거친 피부, 솜털 빠진다. 매운 음식- 근맥 땡기고 손발톱 거칠어진다. 신 음식- 기육(肌肉)이 주름, 입술 튼다. 단 음식- 뼈마디 아프고 머리카락 빠짐

(4) 음주 : 습열 내생 음 손상

 

분류

외감병인

내감병인

발병경로

사기邪氣 외부로부터 침입

에서

장부臟腑 먼저 손상 병이 내부 발생

질병의 성질

대부분 기가 넘치는 실증實證

대부분 기가 부족한 허증虛證

치료원칙

치료 병사를 제거하는 방법사용

내부조절 장부간 조화,

정기精氣보충 중점

병인범위

육음六淫

칠정七情, 음식, 노상勞傷

3. 노권(勞倦)

(1) 육체피로 : 오래보면 혈()손상, 오래 누우면 기()손상, 오래 앉으면 육()손상, 오래 서있으면 골()손상, 오래 걸으면 근()손상. 오로(五勞)손상

(2) 정신피로 : 심과 비()기 손상, 기억력감퇴, 불면, 다몽, 식욕부진, 복부창만, 설사

(3) 방사과다 : 신정(腎精)손상, 요통, 이명, 기억력감퇴, 성기능 장애

(4) 권태 : 근골 연약, 비위정체, 신체허약, ()

3절 기타병인(其他病因)

1. 외상(外傷)

(1) 금창(金瘡)), 질타상(跌打傷) : 출혈과다, 기체혈어(氣滯血瘀), 화농

(2) 화상(火傷)

(3) 동상(凍傷) : 한음사(寒陰邪)로 양기손상

2. 충수상(蟲獸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