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vical Cancer 자궁경암(子宮頸癌)
症瘕(子宮頸癌)
자궁경부 암의 점유율은 여성생식기 악성종양의 첫번째이며, 35세이상 다산의 경험이 있는 여성과 패 경기전후의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50세발병률이 가장 높다. 조기 증상은 불명확하며, 백대가 증가하는 증상이 나타나며,성교시 출혈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말기의 원인으로 암 조직이 침윤하여 신경을 압박하고, 하지통증,허리,허벅지산통(腰腿酸痛)이 명확히 나타난다. 암 조직이 괴사(壞死) 혹은 감염으로 대하의 혈성이 불결해지며(血性汚穢) ,악취가 나고, 음도출혈이 불규칙적고, 암 조직이 방광으로 전이되어 소변보기가 어렵고, 소변을 자주보고(尿頻), 혈뇨가 있다. 직장을 압박하여 배변이 어렵다. 말기환자에게 자주볼수 있는것으로 저열,저체중이며 몸이 마르며,빈혈,하지부종등이 악한병 증세가 나타난다. 동양의학에서는 자궁경암의 병명은 기록되어 있지않다. 본병은 中醫症瘕(적병:오랜체증으로 뱃속에 응어리가 생기는 병),崩漏(자궁출혈),다섯가지색의 대하, 월경불조,음창등의 병증 중에서 볼수있다.
[病因病機] 肝鬱하고 脾가 弱하며, 腎臟이 虛하고, 氣血瘀滯,沖任失調,濕熱蘊毒하여 자궁문을 침범하여 나쁜 독이 응집되어 피가 뭉쳐서 덩어리가 되어 생긴다.
濕熱瘀毒: 素體濕盛,혹은 脾腎陽虛,氣化不利, 運化失司, 生濕化熱하여 積聚日久,濕毒內蘊, 氣機阻滯, 瘀滯內留 뿐만 아니라 濕熱瘀毒 서로 맺히고, 자궁 문으로 흘러서 멈춘다. , 혹 습열이 안으로 침범하여 문에 이르고 하적된다. (덩어리를 이룬다)
1. 肝經濕熱: 房事不潔,혹 月經期間이나 産後에 攝生不振하며,濕熱이 사하며, 肝經에 머물러 자궁 문에 유한다. 혹은 간기가 왕성하여 비장을 극하며, 비장의 소화가 실조되어 물과 습이 안에 적체되어, 열로 변화되어 쌓인다, 오랜 시간 (日久)이 지나면 독을 만들어 열독이 근육을 부패 시켜서 병이 된다.
2. 陰虛濕毒內盛: 소체음허 혹은 노화로 음기가 허약해 지고, 음허로 불균형해 지고 봉장실사(장기를 보호하는 것이 실조 되고), 습독이 안으로 침범하여 하체에 머물러 자궁 문에 쌓여서 안쪽의 장기를 파괴하거나 기능을 잃게 한다.
3. 陰虛濕毒腐滯: 素體陽虛, 勞倦過度, 食飮失節,혹은 産多乳衆,損傷脾腎, 脾腎陽虛,水濕내정, 濕濁壅滯胞脈,蘊久成毒, 濕毒腐滯하여 子宮門에 病이된다.
4. 痰濕凝聚: 素體肥胖,痰濕內盛,혹은 脾濕運化失司, 水濕內停,蘊濕成痰, 담습이 자궁맥과 자궁문밑으로 모이고, 氣血運行不暢하고 담습오래되어 혈이 결하여 痰濕瘀阻를 이룬고, 열이 오래되어 독으로 변하고 자궁문의 기혈이 썩어들어간다.
[檢査]
1. 婦姻科檢査; 자궁경부암은 糜爛型,外生型,內生型,潰瘍型 4가지 種의 類型이 있다.
미란형: 경부주의에 비교적 거칠고 조잡한 과립형의 부패한 면이 있다. 대부분 대칭을 이루지 못하고, 혹은 불규칙한 궤양면이 있고, 觸血陽性을 보인다.
외생형: 자궁경부조직은 식육형태와 유두모양으로 솟아있다. 계속적으로 발전하여 크고 적은 것이 불균등하고 양배추꽃모양(菜花樣贅生物)의 덩어리가 있어 피부가 무르고 쉽게 출혈한다.
내생형: 암조직이 깊은곳까지 침윤되어있고, 경부가 비대하고,경부표면이 광활(미끄럽고)하며, 앏은 궤양이 나타난다.
궤양형: 내생형, 외생형의 발전된것이고 , 암조직괴사 되어떨어 진다. 그래서 함몰성궤양(凹陷性潰瘍)이 형성되며, 또다르게는 空洞型이라고도 부른다.
2. 子宮頸部 세포학검사(宮頸刮片) babbit 3級 이상.
정상적인 세포학검사 결과 선암세포양성일때, 당연히 괄전을 진행하여 자궁경부관에 온것인지 아니면 자궁내막에서 온것인지 명확히 단계별로 분류한다.
3. 陰道鏡檢査 : 음도경으로 비정상적인과 의문이 있는곳에 집중적으로 생검하여, 活檢陽性率을 높이고 도와주는데 있다.
4. 자궁경부와 宮頸管活檢: 자궁경부암을 진단하는 가장 요한 검사이다.
臨床分期: 0기: 원위암. 1기: 암조직이 자궁경부에 일부에 발생함.
2기: 암조직이 음도에 까지 침범되었고, 그러나 음도밑 1/3에 못 미친며,혹은 경부주의 조직으로 침범했으나 골반내벽까지는 못 미친다.
3기: 암조직이 음도밑 1/3지점 까지 침범했거나, 혹은 골반내벽,腎盂靜脈 촬영결과 한쪽혹 양측에 수요관이 막혀있다.
4기: 암조직이 이미 골반외부까지 확산되었으며, 혹 방광과 직장점막에 까지 미쳤다.
[鑑別診斷]
1. 老年經斷復來 : 환자의 49세 좌우의 여러계열중, 절경1년이상, 월경이 다시 시작되고, 경혈색이 선홍색이며, 점성이강해 끈적끈적하다. 자궁경부암 음도출혈은 성생활후 자주 발생하고, 혹은 부인과 검사후 접촉성 출혈과 불규칙적으로 출혈량이 많고, 혹은 백대에 악취나고 고름이 나옴 등등. 자궁경부에 괄편세포학검사및 궁경,궁경관활체조직 병리검사을 해서 명확히 진단해야 한다.
2. 月經愆期:
월경의 혼란으로 월경주기가 단축되거나 혹은 월경기간과 월경량이 정상임. 뿐만 아니라 자궁경암 음도출혈이 불규칙이며, 월경량이 다소(多少)부정확하거나, 혹 갑자기 음도에 급성출혈이 있거나, 접촉성출혈이 있고,발병전 음도에 백대에서 이상한 악취있다.
3. 帶下病 : 대하 중 적대병과 자궁경암이 똑같이 경쟁후 음도에서 홍색의 혼탁한 점액이 유출이 있고, 악취가 있다. 자궁경암 괄편세포학 감사와 궁경활체조직 병리검사통해 감별이 가능하다.
[辨證要點]
자궁경암의 변증은 습열담습어조체가 자궁에 오랫동안 쌓여서 독 된것이고, 임상에서는 허 증과 실증으로 나눠 어 진다.
만약 백대에 누런 물이 있거나, 혹 피고름과 악취가 있거나, 아랫배 복통을 동반하는 자는 濕熱瘀毒 에 속하며, 백대량이 비교적 많다; 혹 백대중에 피가 있고, 옆구리와 복부에 당기는통증이 동반하며, 입이 끈적끈적하고 마음이 번잡한자는
肝經濕熱에
속한다; 대하가 담홍색이 많고 혹은 적색과백색이 같이 있을 때, 두훈과 눈이 건조하고 허리가 시큰하고 이명이 동반하는자는
陰虛濕毒하여
안으로 盛한것에 속한다; 대하가 부드럽고, 농도가 묽고, 한기로 몸이 피곤하고, 아랫배가 차고 당김이 있는자는
陽虛濕毒腐滯에
속한다. 대하가 황색과 백색이 같이 있고, 복부가 더부룩하고 위가 포만감이 있고, 구역질이 곤란하며 피곤한자 痰濕凝聚의 증상에 속한다.
[治療]
1. 辨證論治
자궁경부암의 조기 증상은 불명확하며, 다수가 이미 진행중에 발견되고, 만기에 이르러 정체상 신허,간비실조,음양기혈부족하며, 부분적으로는 기혈응체, 습열어독, 견중결괴하고 열독이 울결된다. 증상의 표현으로 정기가 허하며, 사기가 실하여, 한열이 같이 있다. 그러므로 정기를 바로잡고, 사기를 제거하여 치료한다. 첫번째 방면으로 허를 보하고 정기를 바로 잡는다, 습을 제거하고 해독하며, 혼탁한것을 깨끗게 하고 열을 다스린다, 종양을 소멸하여 사기를 제거하여 항암효과를 얻는다. 중,만기의 자궁경부암일 경우 양방과 협진 (수술및 화학요법)으로 치료하여 통고를 감경하고 생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는 작용을 한다. 방사선치료, 화학치료기간중 백세포가 감소하는 부작용이 출현시 이는 정기가 쇄약해 지는 반응이며, 이럴대는 한방적 치료가 유리하다.
(1) 濕熱瘀毒
주요증상: 조기 백대가 부드럽고, 혹은 황색의 백대나 있고, 만약 쌀뜨물, 혹은 노란색물, 혹은 고름, 혼탁한 물, 피고름,같으며 악취가 나고, 하복부 통증이 있고, 요추,저골(미골)의 통증이 있다. 설은 홍,어혈점이 있고, 태는 박하고 기름지고, 황색이며, 맥이 활하고 삭하다.
治法: 淸熱除濕.化瘀解毒. 處方: 黃蓮解毒湯加味. 황련12 황금15,황백12,치자12,토복령12,창출9,생의이인12 용규12,반지연12,백화사설초15 가감: 만약음도출혈시 혹은 성교후 출혈시 선학초15,소계탄10 으로 냉혈지혈함
비선방제: 용담사간탕 기능: 쳥사간담실화습열. 증상으로: 간경에 열독이 울결되었을때 사용한다.
(2) 肝經濕熱
주증: 백대량이 많고, 피가 썩여있고, 정서적으로 鬱結 울적하고, 예)한이 맺힌다.) 善悲多慮,(쉽게 슬퍼하고 생각이 많다) 가슴이 답답하고, 옆구리가 더부룩함, 입이 달라붙고, 번민이 있고, 아랫배가 쳐지는 통증. 설:홍 태; 황색이며 기름지다. 맥:현하고 삭 하다.
治法: 疏肝理氣,淸利濕熱.
處方: 丹梔逍遙散加味.
丹皮15, 梔子15 작약12.시호10.복령12,虎杖21 반지연15,황백12,백하사설초21
가감: 만약변이 딱딱하고, 아랫배가 포만할 때 지각15,대황10(후사)가하며, 行氣通便한다. 만약 식욕부진 할 시 山楂15,神曲10,가하면 消食導滯함.
備選方劑; 六鬱湯, 效能; 消痰行氣,化滯消堅. 氣,血,痰,火,濕,食鬱結, 生痰化火가 瘀結證을 야기시킬 때 사용한다.
(3) 陰虛濕毒內盛:
주증: 대하량이 많고, 담홍색 혹은 적백색과 같이 나타나고, 농도가 짙은 점성이 있으며, 악취가 나고 혹은 불규칙 음도출혈, 두훈과 눈이건조하고, 허리가 시큰하고 이명이 있다, 번민이 있고 수면량이 적고 오후나 저녁에 열이나고 도한이 있다. 입이 마르고, 변도 딱딱하고, 설이 홍하고 택가 조금있다. 맥은 세하고 삭함.
치법: 자양간신, 거습해독.
주방: 지백지황탕가미,
지모12, 황백15,생지12, 산수유9,산약12,복령9,택사9,단피9,관중15,어성초30, 마치현30, 패장초30,
가감: 만약 간신음허편습열 일 경우, 대하에 악취가 나며,복부가 더부룩하고 당기거나 쳐지는 자는 용규20,포공영15,반지연30, 으로 淸熱利濕,한다. 만약. 간신음허편 간울 일경우, 가슴이 답답하고, 유방이 팽창하거나, 입이 쓰고,목이 건조한자는 소요산과 육미지황탕 가감으로 疏肝解鬱, 滋補肝腎한다.
비선방제: 보음전, 효능: 養陰淸熱,固冲止血,한다. 일체의 陰虛內熱動血등의 증세에 사용한다.
(4) 陽虛濕毒腐滯 주증: 대하양이 많고(증가),묽어지고, 악취가 중하지 않다. 혹은 崩漏가 있고, 寒증이면서 약한 冷증이 나타나며, 精神이 倦怠하며 두훈,이명,아랫배가 냉하고 쳐지고, 소변이 탁하고(진흙색). 설은 담하고 두껍다, 치흔이 있고 태는 백하고 윤기가 있음, 맥; 심,세하며 무력함.
治法: 健脾補腎, 溫陽固攝, 利濕解毒.
主方: 부자이중탕 합 사신환 가미.
부자12, 인삼30,백출15, 간강9,감초6,파고지15(보골지),오수유12,육두구12,오미자12,백화사설초20,오재골15,천추12 홍등30.
가감; 기허가 중하고 음도출혈이 지혈이 안되는자 황기30,아교9,,형계탄10,혈여탄10,삼칠분8으로 익기지혈 한다.
(5) 痰濕凝聚 主證: 대하량이 많고(증가), 황색과 백색을 뛰며, 복장위만,간혹 惡心(구역질)이 있고,면허부종,쉽게 피로하고 잠을 잔다. 소변이 탁하며(진흙탕). 설체: 두껍고,태는 백하고 기름기가 있다. 맥: 류하고 활하다.
治法; 健脾利濕, 化痰軟堅
主方: 倉附導痰湯加味.
창출21,향부12,복령12,반하 15,진피9,감초6,남성9,지각12,생강9,신곡12,백화사설초15,반지연15,
가감: 만약 비허하고 비만이며, 호흡이 짧고,가슴이 답답한자는 당삼15,황기15,백출12,으로 건비익기한다. 만약 담습어조가 중한자는 하고초12,해조15,산자고15으로 軟堅散結한다.
備選方劑 ; 半夏加茯岺湯, 효능: 健脾化胃, 降逆化痰. 脾虛하고,痰濕이 위를 침범했을 때 사용한다.
針灸治療: 治法: 利氣活血,解毒散瘀, 主血: 기해,중지,대거,수도,귀래,신수,삼음교, 配血: 위,간,비수, 결반,조해,교신,내관,통리,열결,지기,중도,
음도출혈시: 교신,삼음교,총문기총.
적백대: 중지,
출혈과다: 음교,삼음교,양지.
요통요삭: 신수. 에 시술하여 다스린다. 수법: 평보평사법. 경도자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