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및 증상(Disease) 16

痛風(Gout)통풍

痛風(통풍) I.정의 痛風의 개념을 살펴보면 '痹症, 痛風, 歷節, 歷節風, 白虎歷節風, 白虎風痛' 등의 범주에 해당되는 질환으로서 서양의학에서는 통풍(Gout)을 Purine의 신진대사 장애로 혈중의 뇨산(Uric acid)이 상승함으로써 뇨산 염결정이 관절이나 관절주위 및 연부조직에 침착되어 격심한 발작성관절염,근육관절동통,부종을 야기하는 질환으로서 정의하고 있다. 중국고대원서의 皇帝內經에痹症을 :風寒濕三氣雜至,合而爲痹也.라하여 風氣가 성한자를 行痹,라하고, 寒氣가 성한자를痛痹라하며,濕氣가 성한자를 著痹라하였다.그리고 筋,骨,脈,肌,皮로 나누어 五痹라고 함.원래 통풍은 서양인에게 많았으나 최근에는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 고단백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동양인에게도 증가추세에 있는 질환이다. Ⅱ. 통풍의 원인..

被害妄想 피해망상(Delusion of Persecutory)

被害妄想症 피해망상증[ persecutory delusion ] 정의망상은 현실에 맞지 않는 잘못된 생각을 말한다. 망상은 분명히 현실적인 사실과는 다르고,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설명에도 불구하고 시정되지 않으며, 그 사람의 교육 정도나 문화적인 환경에 걸맞지 않는 잘못된 믿음 또는 생각을 말한다. 망상은 비록 사실과 다른 생각 또는 믿음이라고 정의된다 하더라도,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잘못된 판단이나 사고의 오류 또는 잘못 전달된 지식과는 엄격하게 구별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특수 집단에 소속된 사람이 그 집단의 특수한 교육 때문에 생긴 비상식적인 믿음과도 구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수 신흥 종교 집단의 특이한 신앙적 믿음은 비록 일반인이 이해 불가능하더라도 망상이라고 할 수는 없다. 망상의 내용들은 그..

환절기 알러지성 비염

환절기 건강관리 (가을,겨울) 秋風落葉을 밝으며, 가을이 성큼 다가온 것을 느낀다. 어느덧 사늘한 바람과 함께 寒風이 몸을 엄습해 옴을 느끼며 몸은 움츠려 들려고 한다. 본능적인 것이다. 기온이 아침과 낯으로 5~10도 이상 차이의 날씨에 우리의 몸은 자꾸만 굳어지고 있다. 이럴 때 일수록 자기의 건강관리에 힘써야 한다. 나무는 충분한 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잎의 수분 공급을 중지하고, 충분한 수분을 저장하듯이 인간도 자연의 섭리에 따라, 건조성 날씨에 우리의 피부도 점점 거칠어 지기 싶다. 그러므로 충분한 보습이 필요 할 때이다. 이런 날씨에는 피부질환이 다시 재발하기 쉽고, 호흡기질환,심혈관계통의 질환이 동반한다. 예를 들면 감기,천식,알러지,비염,축농증,아토피,고혈압,족근통,수족마비,근육통,심장마비..

산후(産後病) after child-birth.

산후병이란: 산부가 산욕기 ((産褥期): 분만 후 생식기가 원상 회복될 때까지의 기간《보통 6-8주간》을 말한다.)) 내에 발생하는 분만과 산욕과 관련된 질병이다. 주로 많이 볼수있는것이 산후병에는 산후 혈훈,산후혈붕,산후복통,산후경증,산후발열,산후신통,악로불결,산후소변불통,산후다뇨와 실금,산후대변이 어렵고, 모유 부족하고,유즙이 흐르는 증상, 이런 증상들은 대다수"신산후"( 新産後)에 발생한다. 근래 실제임상에 근거하여 산후 7일후를 "신산후"(新 産後)라고 부른다.산후병의 발병원인을 크게 세가지로 요약하면 첫째는 실혈과다,망혈상진,허양부산,혹은 혈허화동,역지산후혈훈,산후경증,산후대변난등; 두번째는 어혈내조,기지불화,혈행불창,혹 기지역난,으로 인해 산후혈훈,산후복통,산후발열,산후신통,악로불결등; 세번쨰..

[呆病,痴呆,善忘,癲狂,鬱症 ] 혈관성치매(다발경색성 치매,MID)

[呆病,痴呆,善忘,癲狂,鬱症 ] 혈관성치매(다발경색성 치매,MID)는 흉부혈관병변으로 인해 상응되는 구역의 뇌조직에 경색으로 지능장애을 일으킨다, 주요임상표현의 일종으로 뇌기질성질병이다. 혈관병변은 그 발병의 기초이고, 만약 동맥경화,고혈압성소동맥경화와 당뇨병성혈관병변등. 앞전에 연구로 다발적혹은 중요부위의 경색,출혈로 인해 피질의구조 및 그 연계부분의 손상으로 일어난다. 본병은 단계성악화와 파동성 병의정도라고 한다. 중의학에서는 “매병”, 치매,선망,전광,울증,등의 범주에 속한다. 본병은 다수의 간신부족,수해공허,비신양허,담어조낙, 신간화왕의 원인에 의하여 일어난다. [진단과 감별]: *임상표현: 1. 병사: 환자는 주로 고혈압,동맥경화,혹 반복발작의 뇌졸중과 뇌공혈부족의 병력이 있다. 2. 증세 : ..

Vesicular Exanthema( be swayed).대상포진 帶狀疱疹

대상포진(帶狀疱疹) 사람들은 한방치료가 양방치료에 비해 치료효과가 늦게 나타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급성 질환을 치료할 때는 양방치료가 빠른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곤 한다. 그러나 한방 또한 양방치료보다 더 빠르고 쉽게 치료할 수 있는 질병들이 많이 있다. 그 중의 하나가 대상포진이다. 누구나 걸릴 수 있고, 한번 걸리게 되면 매우 고통스러운 질환인 대상포진에 대하여 알아보자. ■ 스트레스와 과로 등으로 체력에 무리가 가기 시작하는 40~50대가 되면 여러 가지 질환에 노출되기 쉽다. 쉽게 걸릴 수 있는 여러 질환 가운데서 면역력이 떨어지면 발병하지만, 초기에 다른 질병으로 오인하기 쉬운 질환이 바로 대상포진이다. 대상포진은 극심한 통증을 일으키며, 적지 않은 후유증을 남기기도 한다. 대상포..

Cervical Cancer 자궁경암(子宮頸癌)

症瘕(子宮頸癌) 자궁경부 암의 점유율은 여성생식기 악성종양의 첫번째이며, 35세이상 다산의 경험이 있는 여성과 패 경기전후의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50세발병률이 가장 높다. 조기 증상은 불명확하며, 백대가 증가하는 증상이 나타나며,성교시 출혈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말기의 원인으로 암 조직이 침윤하여 신경을 압박하고, 하지통증,허리,허벅지산통(腰腿酸痛)이 명확이 나타난다. 암 조직이 괴사(壞死) 혹은 감염으로 대하의 혈성이 불결해지며(血性汚穢) ,악취가 나고, 음도출혈이 불규칙적고, 암 조직이 방광으로 전이되어 소변보기가 어렵고, 소변을 자주보고(尿頻), 혈뇨가 있다. 직장을 압박하여 배변이 어렵다. 말기환자에게 자주볼수 있는것으로 저열,저체중이며 몸이 마르며,빈혈,하지부종등이 악한병 증세가 나타난다..

Breast Cancer 유방암(乳癌)

Breast Cancer 유방암(乳癌) 유방암은 여성의 유방에서 가장 자주 볼 수 있는 것은 종류(腫瘤,Tumour) 이다. 전신의 각종악성종류의 7%~10%를 차지하고 있고, 또한 자궁경부암(子宮頸癌)의 경향은 발병률은 그다지 많지않다. 10만중23명으로 통계 되었다. 病原: 발병연령은 40세~60세에 많고. 그 중 45~49세(갱년기)와 60~64세에 최고로 많다. 이것은 발병과 성호르몬의 변화시기에 무척 관계가 크다. 갱년기 여성의 난소기능이 점차적으로 감퇴되고, 뇌하수체전엽의 활동이 강해진다. 신상샘피질의 여성호르몬생산을 재촉한다. 60~64세 좌우로 해서 신상샘 피질의 남성호르몬생산 또한 비교적 많다.약간의 호르몬의 변화가 유방선체상피세포의 과다증식의 원인이 된다. 어떤 학자들은 부녀자가 만약 ..

혈관성치매(다발경색성 치매,MID)[呆病,痴呆,善忘,癲狂,鬱症 ]

[呆病,痴呆,善忘,癲狂,鬱症 ] 혈관성치매(다발경색성 치매,MID)는 흉부혈관병변으로 인해 상응되는 구역의 뇌조직에 경색으로 지능장애을 일으킨다, 주요임상표현의 일종으로 뇌기질성질병이다. 혈관병변은 그 발병의 기초이고, 만약 동맥경화,고혈압성소동맥경화와 당뇨병성혈관병변등. 앞전에 연구로 다발적혹은 중요부위의 경색,출혈로 인해 피질의구조 및 그 연계부분의 손상으로 일어난다. 본병은 단계성악화와 파동성 병의정도라고 한다. 중의학에서는 “매병”, 치매,선망,전광,울증,등의 범주에 속한다. 본병은 다수의 간신부족,수해공허,비신양허,담어조낙, 신간화왕의 원인에 의하여 일어난다. [진단과 감별]: *임상표현: 1. 병사: 환자는 주로 고혈압,동맥경화,혹 반복발작의 뇌졸중과 뇌공혈부족의 병력이 있다. 2. 증세 : ..

Diabetic 당뇨병(消渴)

Diabetic.消渴(糖尿病) 소갈(消渴)은 음식을 절재하지 못하고, 情志失調등의 원인으로하여 多飮,多食,多尿,形體消瘦,(三多一少)하거나 혹은 뇨에서 단맛이 나는 특징의 병증이 있다. 그의 병리적 변화는 주요하게는 陰虛燥熱,氣陰雙虧,陰陽兩虛,血瘀津傷의 증이 있다. 병인병기(病因病機) 본증은 주요하게 소체음허(소체음허) 음식을 절재하지 못하고, 정서적인것이 실조되어 과다한 노동으로 인해 병을 잃으킨다. 1) 음식불절: 장기간 과식으로 비만을 초래하여 술과 음식의 짙은 맛을 즐기면 비위의 운화가 실조되어, 적열내온(積熱內蘊) 화조호진(건조하여 진액이 소실된다.)하여 소갈이 생긴다. 2) 정지실조: 장기적으로 정신에 자극을 하게 되면 기기울결하여 火로 변화되어, 폐와위의 음과진액을 소실하게 되어 소갈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