痛風(통풍) I.정의 痛風의 개념을 살펴보면 '痹症, 痛風, 歷節, 歷節風, 白虎歷節風, 白虎風痛' 등의 범주에 해당되는 질환으로서 서양의학에서는 통풍(Gout)을 Purine의 신진대사 장애로 혈중의 뇨산(Uric acid)이 상승함으로써 뇨산 염결정이 관절이나 관절주위 및 연부조직에 침착되어 격심한 발작성관절염,근육관절동통,부종을 야기하는 질환으로서 정의하고 있다. 중국고대원서의 皇帝內經에痹症을 :風寒濕三氣雜至,合而爲痹也.라하여 風氣가 성한자를 行痹,라하고, 寒氣가 성한자를痛痹라하며,濕氣가 성한자를 著痹라하였다.그리고 筋,骨,脈,肌,皮로 나누어 五痹라고 함.원래 통풍은 서양인에게 많았으나 최근에는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 고단백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동양인에게도 증가추세에 있는 질환이다. Ⅱ. 통풍의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