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및 증상(Disease)

Breast Cancer 유방암(乳癌)

大醫 2015. 4. 21. 03:59

Breast Cancer 유방암(乳癌)

 

 

 

유방암 여성의 유방에서 가장 자주 있는 것은  종류(腫瘤,Tumour) 이다. 전신의 각종악성종류의 7%~10% 차지하고 있고, 또한 자궁경부암(子宮頸癌) 경향은 발병률은 그다지 많지않다. 10만중23명으로 통계 되었다.

病原: 발병연령은 40~60세에 많고. 45~49(갱년기) 60~64세에 최고로 많다.  


이것은 발병과 성호르몬의 변화시기에 무척 관계가 크다. 갱년기 여성의 난소기능이 점차적으로 감퇴되고, 뇌하수체전엽의 활동이 강해진다. 신상샘피질의 여성호르몬생산을 재촉한다.


60~64세 좌우로 해서 신상샘 피질의 남성호르몬생산 또한 비교적 많다.

약간의 호르몬의 변화가 유방선체상피세포의 과다증식의 원인이 된다. 


어떤 학자들은 부녀자가 만약 40 이전에 어떤 원인에 의해 난소 제거 수술을 했을 경우 발병률이 가장 많이 내려갔다.

여기서 증명된 것은 여성호르몬이 유방암발병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각종 여성호르몬 중에서 어떤 사람이 생각하기에 여성케톤1 명확이 암을 유발한다고 말했다.

여성캐톤2 여성케톤3 아니고 만약 노년의 여성호르몬 케톤1 함량이 케톤2,3보다 많고 2.3 적어질 유방암의 발병률이 자연적으로 증가한다.

비교적 유방암 발병이 쉽게 일어나는 원인으로 가족사 유전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생모와 형제자매 간의 질환성 유방암)

월경초기 이른 12세이고 절경(패경) 늦은 52. 40 이상 미임(未姙),1태가 35 늦게 가졌을 ,

첫번째로 일찍 유방암이 있을 상피가 많이 증가하여 활력적인 유선상성증가로 병이 된다.

이외에 다른 이유로 지방음식섭취도 유방암발병의 중요한 원소중의 하나이다.

 

病理類型: 유방암 종류은 무척 많다. 의사마다 분류가 불일치 . 아래는 현재에 많이사용되는 병리분형이다.

첫번째 : 非浸潤性癌 :  도관내암(암세포가 기적막을  뚤고들어감)  소엽원위암(암세포가 말초유관 혹은 선포기적막을  뚤고들어감) 포함한다. 이런유형은  초기에 예후가 비교적좋다.


두번째  : 早期浸潤性癌 : 조기침윤성도관암(암세포가 기저막을 뚤고 들어감, 사이사이에 침윤이 시작됨)조기침윤성소엽암(암세포가 말초유관 혹은 선포기저막을 뚤고 들어가면서 사이사이에 침윤이 시작되며, 그러나 소엽범위안에 있다.) 포함한다.  이런유형은 조기에 속한다.


세번째  ; 浸潤性特殊癌  유두상암, 대량의 임파세포의 침윤적수양 동반하고 소관암(고분화선암)선양낭성암,점액선암,대한선양암,린상세포암,유두습진양유암.(유두내대유관에서 기원됨)등을 포함한다. 이런형을 일반적인 분화가 높을뿐아니라. 예후가 대체적으로 좋다.


네번째  ; 浸潤性非特殊癌 침윤성소엽암, 침윤성도관암, 경암, 수양암,(대량임파세포침윤이 없는자) 단순암, 선암등. 포함한다. 이런 류형은 다분화가 적고 뿐만 아니라 예측에 차이가 있다. 유암의 점유률은 70~80%이고 또한 경암이 가장 많이 볼수있으며 점유률은 대략 전체에 60%이다. 다섯번째: 기타 보기 드문 암이 있다.


轉移途徑:

1.      直接浸潤  직접적으로 피부에 침입하여, 흉근막, 흉근등 주위조직으로 전이됨.

2.      淋巴轉移  유방임파 액의 개의 송출 경로의 확산이 가능한 순이다. 주요경로로 가지가 있다. 첫째: 암세포가 흉근외측의 임파 관으로 침입하여 같은 측의 액와임파관(겨느랑이) 으로 가는 경로. 나아가서 쇄골하(밑의)임파결 침입하여 쇄골상(위로)임파결 이른다. 만약 쇄골상임파열을 초과할 도관 좌측 혹은 우측임파도관 정맥혈류방향으로 침입할 뿐만 아니라  곳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있다. 둘째 암세포가 흉골방임파결로 침입하여 계속적으로 쇄골상임파결로 이르며, 이후에 같은 경로로 정맥혈류로 침입하여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가지 주요 임파전이 경로 일반적으로 첫번째가 많고 두번째 전이는 비교적 적다. 그러나 일단 발생하면 예측에 차이가있다. 유방암의 절재술에 있어  액와임파결전이는 대략 60%, 흉골방임파결전이률이 30%~35%이다. 이외에 유방암의 원래발생한 부위와 전이 경로에도 반드시 밀접한 경로가 있다. 일반적으로 말할 액와임파결전이자는 원발점 에서 대부분 80% 유두,유륜구 유방외측부위에 많다, 흉골방임파결전이자는  원발점 에서 대부분70% 유방내측부분에 많다. 

3.      血運轉移   혈운전이는 발생은 대부분 만기에서 나타나고. 이러한 개념은 이미 부정할수없다.  어떤조기유방암 임상에서 발견당시 종양이전에 혈운전이가 있었음을 연구중 발견되었다. 암세포는 임파경로를 통해 정맥에 진입하며, 또한 직접 혈액순환계로 침입한다.  가장 많이 있는 혈운전이 되는 순서로는 ,,간장이다. 골격의 순서로는 척추, 골반, 대퇴골순이다.

臨床表現   유방암은 유방의 외부윗쪽상한에서 가장많이 볼수있다 (45%~50%), 다음으로 유두,유륜(15%~20%) 안쪽위쪽상한(12%~15%)이다. 가장 먼저 나타나는 환부의 증상으로 무통,단발적 작은 종양이 있다. 종괴(腫塊)질경,(質硬) 하고.표면은 거칠고 광활하지않다. 주위조직의 분계(나누어지는) 불분명하다. 유방내에 고정되어 있어 밀어서 이동이 안됨. 스스로 느끼기에 종괴는 환자의 무의식중에 (:샤워, 탈의중) 발견됨. 아직까지 나타나지 않은 종괴의 隱性유방암 혹은 微小유방암은 임상에서는 뚜렷한 증상이 없다. 주로 X-Ray검사중에 발견되고 있다.  임상에서 암괴의 增長 속도는 비교적 빠르다.  따라서 체적도 증대하고, 주위조직을 침범하여 유방외형을 변화시키는 원인 된다.  예를들어 암괴가 선체와 피부의 코펄(Cooper) 인대 침입한다. 그러므로 인대의 수축성과 탄력성을 잃어, 암괴표면피부를  함몰시킨다. 유두의 암괴가 유관에 침입하므로 수축되어지고 유두가 암괴방향으로 당겨진다. 유두심부 암괴 또한 유관과 유두내측 깊은곳까지 침입한다.  이모든것이 유방암의 중요 현상이다. 암괴는 계속적으로  성장하며 피부표면의 내피와 피하임파관이 암세포로 인해 막히며 이것으로 인해 임파수종을 일으킨다. 피부모낭과 피하조직의 연결이 밀접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임파수종은 모낭에 多点狀 함몰이 출현하고, “桔皮樣으로 형성되어 변화된다. 유방의 발육이 비교적 차이가 있고 암괴는 유방표면으로 튀어나와있다. 특별한 것은 비교적 硬癌이 유방을 수축하며 또한 암괴가 명확히 돌출되어있다.

乳癌發展의 晩期, 흉근막,흉근,으로 침입하여 암괴흉벽에 고정되고 또한 쉽게 이동이 불가하다. 만약 암세포가 피부에 층으로  침윤되었다면 다수의 딱딱한 결절과 (밧줄) 피부표면에 있다. 심지어 용합되거나,널리 퍼진다.(弥漫成片); 만약 늘어나면서 등으로 혹은 반대쪽 흉벽으로 까지 이를 흉벽은 수축이 되어 질것이다.  호흡에 한계가 있을 鎧甲狀癌이라 부른다. 어떤 때는 피부가 파괴되어 궤양이 형성된다. 이런 궤양은 악취가 자주 난다.  출혈도 쉽게 나타나고, 외형도 함몰되고 탄성도 줄어들고, 어떤때는 꽃모양처럼 생겼다.  유암 임파전이의 가장 처음으로 많이 있는 것이 腋窩이다.  임파결 종이크고 흩어져있어  숫자는 작고 질은 딱딱하며, 무통하고, 밀어서 움직임이 없다.  이후는 그의 수가 점차적으로 많아짐(增多), 그리고 유착되어 덩어리를 이룬다. 심지어 피부 혹은 심부조직에 까지 유착된다. 만약 액와에 주요임파관에 대량의 암세포가 막혀 상지임파수종을 일으킨다. 흉골방 임파결 위치는 무척 깊게 있다.  보통일반적으로 수술 중에 전이의 여부를 확실이 알수있다. 만기에 쇄골상임파결이 증대하고, 딱딱해 진다.   적은 수의 환자가 액와의 반대쪽에 임파결전이가 있다. 유암의 전이중 곳은 폐에 까지 이르고 명확하지 않은 증상이 시작된다.  이후에 흉통, 호흡이 급하고 출현하며 이런 증상이 많으면 벌써 흉막에 까지 전이 되었다.  脊椎骨전이는 항상 환부에 극심한 통증을 동반한다.  간으로 전이되면 간이 부어 오르며 심지어 황달이 있다.

必須注意; 어떤 특수한 형식의 유방암의 발전규율과 임상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유방암은 다소 다르다. 炎性乳房癌 乳頭濕疹樣癌 에서 있다. 

炎性 乳癌 자주 없고, 일반적으로 젊은 여성에서 발생하며,  특히 임신기간 혹은 모유수유기간에서 있다.  이런 종류의 유암 빠르게 발전하며, 단기간 내에 유방전체로 침입하여, 환자의 유방 임파 암세포가 충만 되어 있다. 

임상에서 유방은 명확이 증대되고, 피부가 충혈, 발홍,발열이 있으면 급성염증과 같다.  촉진시 유방전체에 딱딱하게 부어 오르며, 또한 명확하지 않은 局限性腫塊가 나타난다.  炎性乳癌轉移는 이르며 넓다. 반대쪽 유방도 주로 전염된다.  후는 매우 차이가 많다. 환자는 발병 수개월 사망한다.

 乳頭濕疹樣癌 (Pager ) 많지 않다, 악성정도가 낮고, 발전속도가 느리다.  원래발생된 곳에서 유두주의의 유관 내로 형성되어 점차적으로 유두로 이동한다. 

(潮濕),  어떤때는 황갈색의 비닐모양의 부스럼처럼 피부에 붙어있다.  딱지를 제거해도 진무름 다시 나타난다.  병변이 있는곳에 피부는 發硬,둘레는 비교적 푸르다.  병변은 계속적을 발전하고 유두는 함몰되고 손상된다. 간혹 유륜 심부에서 종괴가 만져진다.  임파로 전이되는 것이 무척 느리게 나타난다.

 

診斷: 乳癌은 乳房 腫塊 중에서 비율적 으로 무척 크다.  良性 腫塊 많지 않아 악성으로 변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여성유방 종괴에 대하여 많은 경계와 자세한 검사와 誤診을 방지해야 한다. 만약 임상에서 표현되는 전형적인 다수의 병에 대한 진단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  그러나. 증상들이 부정확하거나 표준을 벗어나면 (조기에 나타나는 병세) 양성 종괴 라고 있는 것이 적고 오진할 있다.

이런 것을 위해 감별에 주위해야 하며, 각종특수검사방법으로 검사하며 특별히 활조직절편검사가 있다.  감별진단에 대하여 중요한 의의가 있다. 국제항암협회의 건의  T; (原發癌瘤), N:(局部淋巴結), M (遠處轉移) 분기로 나눈다.

0: Tis (원위암: 비침윤성암이며 유두습진양암의 종괴를 찾을수없음)

1: T1 N0 M0 ;

2: T0~1 N1 M0, T2 N0~1 M0, T3N0M0

3: T0~2 N2 M0 T3  N1~2 M0 T4 all NM0 all T N3M0

4: M1 all TN

이상 분기 수술전 검사에 근거하여 실제로는 부정확하다. 임상에서 임파결전이의 병렬중에 1/3 병리절편에 부정적으로 나타난다. 반대로 어떤 환자는 임상검사결과 임파결 종대를 촉진으로 찾을수 없다. 그러나  수술 후에 병리검사에서 전이가 있음을 발견된다. 이것외에도 흉골방임파결에 전이가 있었는지, 수술전에 알수없다. 국내통계자에 근거하여 암상검사시 1기의 환자는 수술후 병리검사시 흉골방임파결이 이미 전이된 자가 9.1%이며; 또다른 근거로 국외의 보고에 의하면 수술전 임파결에 촉진으로 찾을수 없는자, 수술후 유방외측유암중에 4% 이미 흉골방임파결전이가 발견되었다. 유방내측유암에 13% 흉골방임파결전이가 있다.  자세한분석과 효과 예후를 알기위해 위의 분기별로 결합적인 수술로 임파결병리절편의 결과로 진행하고 교정한다.  

預防; 유암의 원인은 불완전하며, 예방하고 진행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만약에 조기 발견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는 없다.  그렇지만 발전되지않게 하고 만기병렬보다 치료율이 높고, 사망률도 낳다.  유암의 조기진단시 먼저 유방의종괴를 없애는 것이며 유방암을 적게하는 체증의 개념을 높이지않는다. 연구를 통해 심상에서 유암은 단세포에서 발전되어 1cm 종괴되어, 그것이 성장하는 일반적으로 3년이며 이것은 이미 전이가 충분한 시간이다. 많은 종괴가 환자에 있어 이것은 조기라고 할수었다. (非早期) 그래서 많은 수학자가 생각하기에 조기 발견의 관건은 유암의 易感因素와 進行普査을 중시한다.  역감인소은 유암의 병인에 참가한다.    보사는 임상검사와 액정열상도로 진행한다. 이후에 의심환자는 다시 촬영한사진과 자세한 세포학적을 검사한다. 

 

치료; 오랜 시간 동안 사람들은  유방암 환자들에 대한 전이가 있는 것이 국부병변으로 여겼다, 해부학의 원칙에 근거한 수술의 진행으로 주요한 치료수단 이루어진다.

그리고 근래에 사람들은 여기기에 유방이 시작됨과 동시에 일종의 전신성질병 으로 생각하였다. 1기의 임파결전이가 없는 병렬이다 아직도 10%~16% 혈운전이로 사망한다. 그래서 맹목적으로 수술범위를 확대하는 것은 효과을 일수 없고, 항상 수술은 여전히 유방암을 치료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그당시 치료방침은  조기에 수술시행하고 그리고 화학항암약물,방사,호르몬,면역치료가 보조적으로 실행되고 종합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한의한적 유방암치료에 대하여..견해 *

 

1,憂鬱愁閼(울결수알), 유방암이 형성되어 疏肝散結의 중요한 방법으로 치료한다.

*유암의 병인분석

여러의학자들은 情志抑鬱하여 병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으로 여겼다.

<<丹溪心法>>에서 말하기를 여인 憂鬱愁閼하여 時日積累,脾氣消阻,肝氣橫逆, 遂成隱核, 만약 鱉祺子, 不通不痒이면 ,十數年後 瘡陷이 있어 이를 乳癌이라 명하였.

  또한 <<外科正宗>> 이르기를 優鬱傷肝,思慮傷脾,積想在心,所愿不得者는 經絡이 덩어리가 되어 막혀서 매듭이 결집되어 핵을 이룬다.라고 했다. 장기간의 임상의관찰에근거하여 유암이 기타 유방종괴의환자중  종괴가 형성되기전에 발견될 한단계의 情志抑鬱과정으로 많이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경험을 바탕한 이론으로  審因論治 대하여 확실한 치료방법은 반드시 지도해야할 의의가 있다.

*유암의 임상표현에서 肝氣鬱結의 증상은 뚜렷하고 쉽게 볼수있다. 조기(조처) 종괴가 점점성장하여 유방종괴을 임상에서 볼수있듯이 딱딱하면서 아프지 않고, 표면이 편편하지 못하고 울퉁불퉁하다, 邊緣界限이 불분명하고 밀어도 움직이지 않는다.  국부에 피부가 수축하여 함몰되고, “橘皮樣 改變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가슴이 답답하고 불편한 느낌과 정신억울,胃納不佳하고 脈이弦하며 細하고 혹은 細하고 등이 동반되어 나타나며 이런 증세가 氣鬱의 증상에 한파를 이룬다. 그래서  나는 시기의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당시에 舒肝解鬱,理氣散結로 치료했다. 


*처방: 逍遙散, 淸肝解鬱湯, 柴胡疏肝散,神效瓜蔞散 小金丹, 牛黃醒消丸,犀黃丸등을 가감해서 쓴다. 1) 종괴초기, 기가충만한자, 서간해울, 산종산결로 치료한다.

광울금9g 귤엽 9g 과루피24g  하고초24g 연교12g 천화분 12g 우방자 6g 산자고12g 산두근6g 현삼9g

종괴가 딱딱하고 통증이 없는자는 露蜂房, 白彊蠶,청피,구기자,귤피,등등 달여서 매일 한번 복용한다.

2) 종괴에 통증이 있는자는  疏肝解鬱,消腫止痛으로 치료한다.

 과루피 24g 구귤이12g 귤엽6g 당귀 12g 유향9g 몰약9 감초 6g

달여서 복용하고 매일 한번복용 이와 같이 매일 牛黃醒消丸3g 小金片3 , 매일 3~4片을 복용한다.

3)종괴가 딱딱하고 뿐만 아니라 血虛자는  疏肝解鬱,養血消腫으로 치료한다.

과루피30 향부자12 구귤이12 귤엽9 당귀9 생지15 백작약12 루로(漏蘆)6 浙貝母9 단牧蠣30 백개자3 복령12 청피9 진피6 炒곡아30 炒맥아30 王不留行15,강반하9 砲穿山甲9 적작약9  달여서 매일 한번 복용한다.

 

2. 熱毒促深, 氣陰俱哀, 祛邪不離扶正

 

병의 증세의 발전에 따라 점차적으로 氣鬱化火, 熱毒蘊結의 증상이 진행된다. 만약 유암에 국부적으로 파괴되어 황색()물혹은 혈수가 흘러들어가거나, 취예(臭穢) 이상하고 더나아가 화궤란바뀌고(궤양성), 발열,구갈등이 동반된다.  이럴때는 邪毒雖盛, 正氣已虛  강한독을 사하고 허한 기를 바로잡는다. 消瘦(소수)하고 心悸氣短,面色晦暗,倦怠乏力,腰膝酸軟,月經不調,苔薄質紅, 脈細 등등 氣陰不足의 현상이며 이런시기에 사하기만 하면 효과가 없다 반대로 허한 정기만 치료하여도 생명을 연명하기가 어렵고 정기 바로잡고 보하며 사하는 것을 병형 하여야 한다.

치료방법으로 자보간신, 익기양열.

처방:  익기양음탕, 귀비환, 향패양영탕,기국지황환등 가감해서 사용한다.

1)     유암만기시 기혈허약한 자는 익기양혈 청열소종으로 치료한다.

처방: 생황기 15 당귀12 하고초 15 녹각편 12 산자고12 절패모 9 포천산갑9 백출6 은화12 토복령24  露蜂房9 昆布24 적작약 12  달여서 매일 한번 복용한다.  다른 방으로 소금단 매일 1 , 우황성소환 매일 1.5g 매일 2번복용. 만약 간간신음 증상일 육미지황환을 같이 복용한다.

2)     유암이 상하여 혈류가있어 상처가 회복이 안되는자는    益氣養血,托瘡生肌 으로 치료한다.   

처방: 황기 15 당삼15 복령 12  백출12 당귀9 백작약12 생지15 적작약 6 청피 6 목과 6 달여서 매일 한번복용한다. 발열이 있는자는 백화사설초,은화,연교,포공영, 칠엽한꽃송이 ,자초근등을 가하고 궤양이 터서 꽃처럼되고 농이 흐르면 냄새가 나는 환자는  토복령,야국화,인동통,생의이인등을 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