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및 증상(Disease)

Diabetic 당뇨병(消渴)

大醫 2015. 3. 29. 11:21

Diabetic.消渴(糖尿病)

소갈(消渴)은 음식을 절재하지 못하고, 情志失調등의 원인으로하여 多飮,多食,多尿,形體消瘦,(三多一少)하거나 혹은 뇨에서 단맛이 나는 특징의 병증이 있다. 그의 병리적 변화는 주요하게는 陰虛燥熱,氣陰雙虧,陰陽兩虛,血瘀津傷의 증이 있다. 병인병기(病因病機) 본증은 주요하게 소체음허(소체음허) 음식을 절재하지 못하고, 정서적인것이 실조되어 과다한 노동으로 인해 병을 잃으킨다. 1) 음식불절: 장기간 과식으로 비만을 초래하여 술과 음식의 짙은 맛을 즐기면 비위의 운화가 실조되어, 적열내온(積熱內蘊) 화조호진(건조하여 진액이 소실된다.)하여 소갈이 생긴다. 2) 정지실조: 장기적으로 정신에 자극을 하게 되면 기기울결하여 火로 변화되어, 폐와위의 음과진액을 소실하게 되어 소갈이 생긴다. 3) 과로: 소체음허,성욕부절재,과로로 음의 정이 손상되고 소모하여 음허하여 화가 왕성해져,폐위가 열과증기로 소갈을 잃으킨다. 위의 서술한 것으로도 알수있듯이 소갈의 병기는 몇가지 특징이 있다. (1) 음허위본(陰虛爲本)조열위표(燥熱爲標); 이들들은 항상 서로간의 원인에 위하여 결과를 가져다 준다. 열이 성하여 건조가 심해지면 음이 더욱더 허 하여지고, 음이 더욱 허하면 조열이 또한 더욱 심하여지는 것이다. 병의 변화를 잃으키는 장부로는 주요하게 폐,위,신인데 여기에서 신장이 제일 중요하다. 세가지 장기중에서 비록 한장기에 편중할때가 있으나 그들은 또한 늘 서로영향을 주고있다. 폐는 치료를 조절하여 물이 위로 올라가는 것을 돕고, 만약 폐가 건조하여 음이 허하면, 진액이 실조되어 분비가 원활하지 못하여, 위가 부드럽지 못하여, 신장의 자원도 소실되어 신음이 부족현상으로 음이 허해 지고, 화가 왕성하여 위와폐에 염증이 되면, 끝으로 폐가 건조해지고, 위열과 신허가 항상 동시에 나타나면서 多飮,多食,多尿,가 역시 늘 동반하여 나타난다. (2) 기음양허(氣陰兩虛).음양구허(陰陽俱虛). 본증이 오래되면, 음이 손상되어 양또한 손상을 입어 기와음이 둘다 손상을 입는다. 심하면 신양허 볼수있다. 또한 기허,양허가나타나는데 이는 모두 환자의 소체양허기뇌와 관계되는데 임상상에서 비록 작게보나 역시 소홀히 하면 안된다. (3) 음허조열(陰虛燥熱) 주로 볼수있는 변증이며, 만약 폐의 자윤이 실조되머 오래되면 폐로의 병발증이 생긴다. 신음휴손하여 간의 영양이 실조되어, 간장과 신장의 정혈이 눈과 귀에 다다르지 못하여 백내장,야맹증,이농,의 병발증이 생긴다. 조열이 안에서 결하여 음의 영양이 타버려, 락맥이 어조하여, 독이 쌓여서 농을 형성하게 되면 창상절과 용저가 생긴다. 음허조열하여 내부에서 타면 액이 담을 이루어 담에 경락을 막아 심장의 구멍을 막아 중풍편탄이 올수있다. 음과양이 손상되어 비와 신장이 쇄하고 패하면 물과습이 정체되어 피부에 있으면 수종이 생긴다. 만약 음과진액이 극도로 손상하여 양이 허하고 부하게 되면 얼굴은 홍하고, 두통,가슴에 열울과 불안하며 손발이 가만히 있지않음(번조), 헛구역질과 구토(비허),눈주위가 푹들어가고, 입술과 설은 마르며 홍하다. 호흡이 깊고 길다. 최후에 음이쇄하여 양을 망하게함, 혼비하고 사지가 차고, 맥은 미,세,등의 증상이 있다. 그 외에도 소갈의 발병은 또한 혈어 와도 관계가 있다. 인식하건대 음허조열은 소갈혈어하는데 있어서 주요한 원인으로 되고 있다. 음허내열하여 진액이 소모되고 액체가 타버려 어혈이 생기고 혹 병으로 양이 손상되면 음양이 다 허하는데 양허 하며 한응(寒凝)하면서 역시 혈어을 잃으킬수있다. *증상감별 본병은 다음, 다식, 다뇨, 형체소수 하는 특징을 같고 어떤 질병으로하여 명문에 화하고 쇄하여 허양부월하면서 구갈욕임음, 소변빈수,형체소수 면색흑하는 것과 구분하여야 한다. 전자는 음,식,뇨가 모두 정상사람보다, 배가 되고 후자는 비록 구갈이 있으나 다음이 없으며, 심지어는 식욕부진한다. 전자는 소변량이 많고, 색이 탁하고 단맛이 있다, 하여 후자는 소변이 비록 빈번하나 수량이 그렇게 많은 것은 아니며 또한 색이 청하고 단맛이 없다, 전자는 설홍, 맥은 수한 것을 많이 볼수있다. 후자는 설 담, 맥 환을 볼수있기에 여기에서 감별을 잘 하여야한다. 치료원칙: 본병은 기본병기는 음허가 본이고 조열이 표이기에 청열윤조하고, 양음생진을 기본으로 하여 치료하는것이다. *변증론치 상소(上消) 폐,위 폐열진상(肺熱津傷) [증상] 갈증이있고 물을 많이 마시고, 입입마르고, 혀가 건조하며, 소변량이 많고, 설견이 홍하고 태는 박하고 황 맥은 홍,수하다. 치법:淸熱潤肺,生津止渴 방약:消渴方加味 방에서 花粉을 重用하여 生津淸熱하고 황련은 淸熱降火하며, 생지황 우즙등은 養陰增液한다. 여기에 갈근,맥동을 적당히 가하여 生津止渴을 강하게 하고,만약 맥:홍,수하고 무력하여 煩渴不止, 소변頻數한것은 폐신기음휴허 한것이기에 二冬湯을 써야한다. 방중에 인삼을 중용하여,익기생진하고, 이동,화분,황금,지모는 청열해갈한다. 만약 설태가 황하고,건조하여 갈증을 유발하여 음하게되며, 맥이 홍,대하면 이는 폐위에열이 번성하여 기와 음이 모자라 손상을 입기에 백호에 인삼탕을 가하여, 淸泄肺胃,生津止渴 해야한다.

 중소(中消) 위,신장 위열치성(胃熱熾盛) [증상] 다식하며 쉽게 배가고프고, 몸이 야위워지고, 변이 건조하며,태는 황하고 맥은 활,실하며 힘이 있다. [치법]: 淸胃瀉火(청위사화),양음증액 [방약]: 옥녀전에 황련 치자를 가한다. 방중 석고,지모는 청폐위지열하고, 생지황 맥문동은 익폐위지음하며, 황련,치자는 쳥열사화하고, 우슬은 인열하행한다. 만약 대변이 결하여 변비가 있을시 증액승기탕을 써서 윤조통부하고 변이 잘 나오도록 한 후에 다시 본 방을 쓴다.

하소(下消) (1)신음휴허(腎陰虧虛) [증상] 소변량이 많고,혼탁하며脂膏하며 혹 소변이 달고, 입이 건조하여 설은 홍하며 맥은 심,세,수하다. [치법]: 자음고신(滋陰固腎) [방약]: 육미지황환가미 (육계,부자) 방에서숙지황은 신장을 양분과정을 체운다. 산약,산수유육의 양을 높여야 하는데 산약은 능히 자보비음 하면서 攝精微하고 유육은 능히 固腎益精하여 수곡정미(水谷精微)을 아래로 흐르지 못하게 하여 이두가지약은 소갈에서 많이 사용된다. 복령:건비삼습하고 택사,단피는 청설간신화열하여 자음보신하여 보하면서 뿐만 아니라 몸을 가볍게하는 효과가 있다. 만약 신음불족(신음불족)하여 음허화왕하면서 번조,실면,유정,설홍 맥:세,수 한자는 지모와 황백으로 자음사화한다. 소변량이 많고 혼탁한자는 익지인,상표소,오미자로 신장기능을 더욱 강하게하여 물을 다스린다. 기음양허하여 곤한자,호흡이 짧고,힘이없고,설은 담홍한자는 당삼,황기를 가하여 補益精氣한다. (2)음양양허(陰陽兩虛) [증상] 소변회수가 많고, 혼탁하고, 기름같고, 심지어 한번마시면 한번 소변을 본다(飮一溲一), 얼굴은 검고,귀는 마르며, 허리와 무릎이 시큰하고, 한증과냉증이 있고, 양이 쇄하여 기능이 저하되고, 설은 담,태는 백, 맥은 심,세,하고 무력하다. [치법]온양자신고섭(溫陽滋腎固攝) [방약] <<금궤신기환>> 방에서 부자,육계,는 온보신양하고, 육미지황환은 調補腎陰한다. 만약 음양기혈이 모두 허하게되면 녹용환을 쓰는데 이상의 두 방에 모두 복분자,상표소,금영자등을 가하여 補腎固攝한다. 이상의 각종 증후의 소갈중에 만약 혈어 증이 나타나면 단삼,홍화,도인,등을 활혈화어하는 약들을 참조하여 써서 치료효과를 제고한다.

 [기타요법]

소갈은 쉽게 여러종류의 다른 합병증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본병을 치료함과 동시에 합병증도 치료해야 한다. 백내장,야맹증(작맹,작목),이롱(이농),의주요 병인병기는 간신정혈부족으로 귀와 눈에 공혈부족(상승안됨)하여서 야기된다, 자보간신,익정보혈로 다스리며, 기국지황환혹은 명목지황환을 쓴다. 창독옹저(독창,종기)의 합병증을 가진자는 쳥열해독,소산옹종,하는 오미소독음을 써서 치료한다. 옹저가 치료되는단계에서 농이 벗겨지고 새살이 생기는 것을 중시하여 치료한다.

[전이예후]

소갈병은 항상 다른 많은 장부의 병과 병변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준다, 병이 말기이거나 엄중한자들에게서 많이 볼수있는 것이 합병증이 많다.만약 폐실자윤으로 오래된경우 폐로(폐결핵)가 있고, 신음휴손,간실루양,간신정혈불능상승으로 이목의 병.예 백내장,작맹,이롱,이 합병증으로 나타난다; 조열내결,영음이 타버리고,맥낙어조,온독성농하여 즉 옹저가 발생한다. 음허조열,련액성담,으로 혈맥어조,담어조낙,하여 중풍편탄이 발생하고, 음손금양,비신쇄패,수습저유,범람근부하여 수종이 나타난다.종합적인 관점에서 소갈병은 자연발생과정중 주로 음허조열로 시작되어 병의 정도가 오래되어 음이손상을 입어 양에 까지 미친다, 그리하여 음양양허로 형성된다. 혹은 양허위주의 중증,또는 자주 발생하는 각종엄중한 합병증이 있다. 

소갈병은 현대사회중에서 발병률이 가장높은 질병중에 하나이다. 특히 중노년에 발병이 비교적 많다. 삼다와 소수의 과도, 로 병의 증세를 판단하는 중요한 표지이다. 조기발견시 지속적인 장기치료와 생활규율,음식절재,의 환자는 예후가 비교적 좋다. 소아소갈병환자는 대다수병의 증세가 가볍고, 합병증은 병의 증세에 영향을 주고, 손상환자는 노동력영향을 주고, 위급환자는 생명의 중요한 영향요인이 된다. 그래서 조기에 합병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이 가장중요하다.. [豫防과 調攝]

본병의 약물치료을 제외하고 생활조섭에 주의해야될 의의가 있다. 정루<<루문사친.삼소지설당총화단>> 불감자미,불개시욕,불절시노,(맛을 감하지못하고,먹기를 좋은하는 것을 다스리지 못하고,화내는 것을 절재하지못하는 )자는 병이 이미 복발되었다. 이 모두 가 진 삼자는 역시 소갈로 근심할여지 부족하다. 그중 특히 음식의 부절재,는 가장기본적 치료로 중요한 작용을 한다. 기체합리의 보증아래의 상황에 맞게 양식,지방섭취에 한계가 있고, 당분섭취를 금하고, 적당한 쌀,맥,잡곡에 채소, 콩류,수육,계란등을 섭취해야 한다. 정시에정양을 섭취해야한다. 술과담배는 금물이고, 정서적안정을 유지하고 규칙적인 생활을 유지해야 하기위해 규율과제도을 만들어 준다.

[結語]

소갈은 다음,다식,다뇨,및 소수의 임상의 특징이 있는 일종의 만성내상질병이다. 앞의 세가지 증상 또 상소,중소,하소의 임상분류의관측할 수 있는 중요한 증상이다. 그병의 주요 부위는 폐,위(비),신장과 관계가 있고, 특히 신장의 관계가 가장밀접하다. 치료에서 청열윤조,양음생진의 기본치료원칙으로 하며, 상,중,하소에 대하여 윤폐,양위(비),신장을 보하는 (益하는) 것으로 구분한다. 그러나 상중하초의 삼소간에 아주밀접한 연계가 있다. 이 세가지의 병인병기는 일치한다. <<성제총록,소갈문>>에 말하기를 원기본즉일,추기표유삼. (원인은 하나인데 나타나는 표증은 세가지라). 소갈은 쉽게 혈맥어체 되어 이것에 의거하여 음이손상되어 양에 미치고 병변이 여러종류의 병발증(합병증)으로 발생되고 고로 빨리 발견하여 진단하고 치료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