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및 증상(Disease)

Stomach Cancer (胃 癌) 위암.

大醫 2015. 3. 8. 05:35

胃 癌(Cancer of the stomach)

위암은 악성종양 중에 자주 볼 수 있는 것이며, 발병률 및 사망률의 점유율도 각종 악성종양 중에서 첫번째이다.

소화도 암 중의 40%~50%는 위암이다. 본 병의 병인 및 발병전의 환경(조건)이 명확하지 않다. 다수의 원인으로 염분섭취과다(짠 음식), 아초안,황곡매소등 암을 유발하고,만성세균감염,위의 대부분 제거수술후 위장질환( 위궤양, 만성위수축성위염,위식육,장상피화생,등등) 악성빈혈 및 유전원소와 관계가 있다. 수술로 제거하는 치료가 주요한 치료방법이다. 한의학(중의학)에는 위암의 증상을 “反胃”, “胃脘痛”, “噎鬲”(열격=식도암).”心腹痞”,”症積”등의 범주에 속한다. 다수의 원인 중 憂思惱怒(근심,생각,괴로움,노함)의 정서불안정,음식 불절재,하지 못하여 간실수세하고,위실화강, 혹은 구병으로 비위가 손상되어 운화실적,담응기체하고, 열독혈어, 위에 막히게 된다, 적취가 괴가 되어 발병한다. 결론적으로 기결,열결,어혈,식적,이모두가 비위가 허한 것과 관계가 있다.

 

한의한적변증:

 1) 肝胃不和: 胃脘賬滿,時時陰通,양쪽옆구리를 꿔여짜는듯함, 구역질, 구토, 설질 담홍,태 박백, 맥: 심,현,세.

 

 2) 胃熱傷陰: 위의 안쪽이 타는듯한 열증이 있고, 입이 마르고, 갈증이 있고(욕음),胃腔내부에서 소리가 나고, 식후완통, 오심반열,대변간조,식욕부진,설홍소,태황태,진액적고, 맥은 현.세.삭.

 

 3) 瘀毒內阻.; 위강에 자통이 있고, 심장 하부쪽에 비대해지면서 경화되고, 압통감과 자통감이 있으며, 피를 토하고, 혈변이 나오며, 피부는 거칠어진다. 설은 어두운 적색,혹은 瘀斑이 있다. 맥은 심,세,삽(껄끄러울)매그럽지못함.

4) 痰濕凝結: 흉부가 답답하고,횡격막이 가득한 느낌이며,얼굴은 황색이며 허하며비만이 있고, 가래와침을 토하고 배가 팽팽하고 변이 묽고, 담이 많다. 설은 담백 태는 미끄럽고 두껍고, 맥은 활,세,류.

 5) 脾胃虛寒 ; 위강의 경미한 통증(隱痛), 누르는것 좋아하고 따뜻한 것을 좋아하고, 혹은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한다. 혹 저녁에 먹은 것을 아침에 토한다. 얼굴색이 황백하고, 정신이 피로하고 사지가 냉하고, 변은 묽고.부종이 있다. 설 담하고 두껍다, 태는 백하고 미끌하고 윤기가 있고, 맥은 심,완,혹은 심,세 하다.

6) 氣血雙虧(기혈쌍휴): 전신에 기력이 없고, 심계하며, 호흡이 짧고, 두훈,눈이 침침하고, 얼굴에 광택이없고,(무색). 허하여 불면증도 있으며, 자한과 도한이 있고, 설은 담하고, 태는 박하고, 조금있다. 맥은 심.세 무력하다.

 [治療] 한의학적 辨證施治. (1)分證論治) 1. 肝胃不和治法: 舒肝和胃,降逆止痛. 方劑: 逍遙散合旋復代赭湯加減 (선복대자탕)

 

方解: 시호,울금,백작약,진피는 간기를 풀어주고, 기를 다스려 간을 부드럽게한다. 선복화,대자석은 한번올리고 한번 내려주며 간과위를 소통하게한다. 당삼,백출,복령은 비장을 건강하게하고 위와 서로 돕는다. 반하,생강은 구역질을 내리고, 구토을 멈추게하며, 감초는 급한 것을 느슨하게하여 위를 보한다.

 

처방: 시호10,울금10, 백작약20, 진피10, 반하10,선복화10, 대자석20, 당삼15, 백출10,복령15,감초6

2.胃熱傷陰: 治法: 淸熱養陰,和胃解毒.

方劑: 竹葉石膏湯合 玉女煎加減.

處方: 사삼15,맥문동10,생지15,생석고20,지모10,죽엽6,우슬10,반하10,연호소10,목향10,황련6,반지연30

3. 瘀毒內阻: 治法: 解毒袪瘀,活血止痛.

方劑; 失笑散合膈下逐瘀湯加減.

 處方: 도인10,홍화10,포황10,오영지15,당귀10,백작약15,오약10,지각6,봉출6서장유10,반지연30,초하차20

4. 痰濕凝結治法: 健脾燥濕,化痰散結方劑: 參岺白朮散合開鬱二陣湯加減. 處方: 당삼15,백출10,복령15,의이인30,창출10,진피10반하10,패모15,남성6,하고초15,해조15,모려20.

5. 脾胃虛寒治法: 溫中散寒,健脾和胃方劑: 理中湯合黃芪健中湯加減.

 處方: 황기20,당삼15,백출10,복령15,간강10,계지6,작약15,감초6,진피10,생강대추를 가한다.

6. 氣血雙虧 治法: 補氣養血方劑: 十全大補湯加減

處方: 당삼15,황기30,백출10,복령15,당귀10,숙지15,단삼20,백작약15,육계6,女眞子15,토사자15

 

(2) 임증경험:

이상의 6가지 사이에는 상호관련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조기에는 간위불화을 많이 볼수있고, 간울기체로인해 비위가 상한다; 기울화화가 오래되면 위열이 음을 상하게한다. 비위가 상하여 소화기능이 실조되고, 담습이 중초에서 응결되어 생기어 중초의 불운을 초래한다; 기체혈어, 어혈이 오래되어 독으로 변하여 중초안을 막는다. 이것의 두가지 증상이 실증이며, 위암으로 발전하는 표현들이다. 위암의 말기에 이르러 비위실조가 오래되어 생성하고 변하하는 근본이 枯渴되고,氣血大虧(기혈이 크게 결핍되어) 나타나는 비위가 허하여 한증이 있고, 또한 기혈이 서로 결핍된다. 심지아 비장과 신장이 명문이 허약하고 쇄한 증상이 있다, 이런 증상은 허증에 속하는 주요증후이다. 약을 사용중에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조기에는 제하고 사하는 방법을 위주로 하며, 바르게 다스리고,도와야 한다, 중기 攻補를 겸하여 행하고, 袪邪하여 바르게 다스리는 것을 병행한다; 말기에는 바르게 하는 것이 주가 되어 거하고 사하는 것을 돕는다. 그리고 시시각각으로 주의하며 비위를 잘 다스려야 하며, 식욕및체질을 증진시켜 준다. 당연히 위암은 한의학의 비위병중의 하나이고, 그러나 아직 특정한 병소가 있을 때 곧 암 같은 종괴 이기에 지속적인 변증과 변병으로 서로 결합해야 한다. 위는 장부에 속하므로 통하게 하면서 보하고, 내려보내게 하면서 서로 화합해야 한다. 쌓이는 것에 주의하여 부드럽게 적체를 소멸한다, 위의 생리,병리의특징에 부합되게 병의 사기를 제거하는데 목적이 있다. 임상에서는 자주 변증의 기초로 해서 증상을 가하고 감하기도 한다, 특히 말기 위암환자는 증상에 맞게 약의 가미한다, 만약 오심,구토,에 반하,죽엽,심향,복화,정향,등을 가하고 위완동통에는 향부,도인,백작약,백거채,연호호,별갑등을 가하고, 복장심하면 대복피,천후박, 지각,변랑,용계등을 가한다. 변비나, 변이건하고 결한자는 목과인,화마인,대황,망초,육종용,번사엽,등을 가한다. 변이 묽고 설사을 하면 의이인,산약, 아차,연자육,주령,택사,차전자등을 가한다. 피를 토하고(嘔血),혈변,이 명확한자는 선학초,혈거탄,오절탄,삼칠분,한연초,백지등을 가한다. 중의학에서 “열격”, “반위”, “위완통”, “증하”, “적취” 등 범주에 속하는 것이 위암이나 식도암이다. 이런 병은 주로 음식을 절제하지 못하고, 정서불안정,정기가 허한 여러종류의 원인으로 종합적 작용으로 이루어 진다. 음식의 부절재가 열을 쌓아 음을 소멸하여, 낙맥을 상하여 기가 막히며, 진액이 변하여 담이 되고, 담이 울하여 열로 변화된다; 정서의 불안정으로 간울기체,疏泄失職, 비위의 받아들이고 운반하는 것이 건강하지 못하고, 진액이 분비가 상실되고, 기혈생성되고 변화하는 것이 부족하고 반대로 습이 담으로 생성되어, 담으로 인해 경락이 막힌다. 기체혈어, 담,기,어혈교조, 인해 열로 변하여 이것이 모여서 암적인 독을 이루어 위의 내부 식도에 정체되어 쌓인다. 오래되면 正氣가 손상되고,(精氣날이갈수록 쇄약해 짐). 脾胃受納運化不健하고 변화되는 근원이 적고,정기가 나쁜 기를 쫓아 내는 것이 약해지고, 나쁜독이 더욱 성하여 진다. 나쁜독은 날이가수록 더 심해지고, 기체가 더욱 깊어지고, 痰, 과 뭉히는 것(瘀)이 날이갈수로 더하여 지고, 위의 받아 들이는 기능이 날이 갈수록 점점 작아지고 곡물을 섭취가 어려워 져 끊어지고 만다. 생명의근원이 되는 물질이 부족하여지고,또 정기가 날이가수록 부족하고 허해져, 虛,痰,毒,瘀,의 原因으로 서로 惡性으로 발전하여 복잡한 病理過程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