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연(鼻淵) 알레르기성 비염의 3대 증상. 증상: ,재채기,콧물,코막힘이 있다. 코의기능; 코의 기능은 우선 숨쉬기가 기본이며 냄새를 맡는 것도 역시 코의 기능중 중요한 것이다. 코의 생체방어기능을 살펴보면 우선 콧속에는 털이 있기 때문에 큰 이물질은 일차적으로 걸러준다. 콧속에는 살균작용을 가진 물질이 있으며 점액중의 면역글로부린은 세균등을 무독화시켜버린다. 한의학에서의 코의 기능 1. 첫째 코는 외부의 공기를 인체내로 흡입하는 통로인데 외부의 차고 탁한 공기는 미간을 통과하면서 따뜻해지고 정화되어진다. 2. 둘째 외부의 건조한 공기는 비강을 통과하면서 비강 점막의 습도조절에 의하여 적당한 습도를 유지하여 기관지로 유입되게 한다. 이러한 상황을 유추하여 보면 코질환을 오래 방치하면 결국은 폐와 기관지에 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수가 있으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치료를 받을 필요가 있다. 알레르기성 비염 분류: 알레르기성 비염은 일년 내내 증상이 있는 통년성(通年性)과 환절기나 특정한 계절에만 발생하는 季節性이 있다. 요즘 같은 환절기에는 통년성이나 계절성 모두 증상이 심해질 때이며 알레르기환자에게는 가장 괴로운 잔인한 계절이다. 날씨가 더운 여름철에는 대개의 경우 자연히 증상이 호전되며 날씨가 차가워지는 가을환절기에 증상이 심하여져서 봄까지 증상이 발생하는 환절기형이 가장 많다. 그리고 화분증이라고 하여 봄에 꽃이 피기 시작하면서 공중에 꽃가루가 날아다니면 증상이 발생하는 꽃가루가 항원인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도 많다. 증상으로 본 알레르기성 비염의 원인 우리 한의학에서는 알레르기성 비염이라고 하지않고 과민성 비염이라고 하는데, 한의학의 특성상 병명위주의 병을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증상에 따라 원인을 다 다르게 보기 때문에 증상위주로 분류흘 하는데 맑은 콧물이 흐르는 비구와 재채기하는 체(嚏),코가 막히는 비색 등을 알레르기성 비염, 즉 과민성비염의 범주에 넣어 치료에 임하는데 그 원인은 1. 재채기는 인체내의 양기, 즉 따뜻한 기운이 외부의 찬 기운을 몰아내기 위한 생리적인 현상으로 본다. 2. 맑은 콧물이 흐르는 비구는 폐가 차기 때문이다 3. 코가 막히는 비색은 역시 폐가 바람과 찬기운에 상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의학에서의 알레르기성 비염의 원인은 바람과 찬 기운에 의한 것 으로 보고 인체를 따뜻하게 하는 것을 대원칙으로 삼고 치료를 한다. 주의사항: 계절과 비질환 1. 한 여름철에는 치료를 하지 않아도 증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가을철부터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겨울철, 봄철 에는 아주 절정기에 이르게 된다. 이때는 기온이 떨어지고 건조한 계절이기 때문에 비질환의 주원인인 풍과 한이 더욱더 심해지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주의사항으로는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음식도 따뜻한 것이 좋다. 축농증 환자의 경우 찬물을 좋아하며 몸에 열이 많다고 호소하는 경우도 없지 않지만 이는 코가 막혀 답답하기 때문에 熱 때문은 아니다. 2. 그리고 비염이 걸리면 코의 습도조절능력이 상실되어 충분한 습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젖은 수건이나 수족관 정도로는 충분한 습도를 유지할 수가 없으므로 가습기를 자주 세척하여 곰팡이의 번식을 막는다면 가습기 보다 좋은 방법은 없을 것이다. 3. 성인의 경우에는 술을 마시면 좋지 않다. 술의 성질이 처음에 인체에 작용할 때는 몸에 열이 나도록 하면 반면 술기운이 떨어질 때면 체온은 급격히 떨어져 비질환에 바로 노출되는 것이므로 삼가 해야 한다. 4. 만성비염 그리고 알레르기성 비염에는 세척법을 금해야 한다. 소금물,식염수,맹물 등은 모두 한의학에서 수에 속하는데 이 수는 음양 오행상 한(냉)에 속하므로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만성비염에는 가장금물이다. 비강 세척법을 한 환자의 경우에 비강내의 점막이 다른 환자에 비하여 상당히 충혈되어 있는 것을 흔히 발견할 수가 있다. 5. 알레르기성 비염이 치료 된다고 하여 인체내의 모든 알레르기가 없어지는 예를 가진 알레르기성 비염환자는 비염이 나았다고 해서 천식이나 피부염을 동시 없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즉 한방은 양방과 는 달리 각 알레르기의 원인을 다르게 보고 있기때문이다. 예를 들면 알레르기성 비염의 원인은 바람과 찬 기운(풍냉)으로 보지만 아토피성 피부염은 태열로 보기 때문이다. 이는 한방은 원인을 분석하여 치료에 임하는 不治表治根源 의학이기 때문이다. 6. 코막힘의 심한 경우에 외용법으로 살구씨나 감꼭지등을 콧속에 집어 넣는 색비법은 효과에 비하여 상당한 인내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비강점막의 부종을 일으켜 마침내 수술로 제거하지 않으면 안될 정도로 악화 될 수가 있다. *만성비염 . 만성비염은 주로 볼수있는 鼻病 이고, 또 3종류가 포함된다. 1.만성단순성비염, 2.비후성비염,3.위축성비염 이며, 이것은 비강점막의 병리현상이 변하여 생겨나는 주요 특징적 질병이다. 만성단순성비염의 주요 병리변화는 비점막의 充血과 종장(腫脹) 있고, 각각의 鼻甲海綿竇叢 이 더욱 명확히 확장되고, 각종 선체의 분비물이 증가한다. 비후성비염의 주요 병리변화는 비점막 (특히 下鼻甲) 두꺼워지고, 섬유조직증가, 비강의 호흡통로가 막힌다, 객관성비색(鼻塞) 조성함으로 비강의 정상생리기능에 영향을 준다. 위축성비염의 병리변화는 비강점막이 위축된다. 彌漫性硬化가 엄중할시에 골막 및 비갑골부가 위축이 나타난다. 각종 선체(腺體)의 분비물 감소,변질되어 주관성비색, 그리고 비강이 점차적으로 생리기능을 잃어버린다. 중의 만성비염의 병명이 아닌것에 그의증세로 맥에서 원인을 찾고, 흩트려서 치료한다고 고서에서 볼수있다. 傷風, 嚏 , 鼻窒, 鼻槁, 鼻燥 등이 기록된것중에서. 1. 만성단순성비염의 주요임상표현: 간헐적혹은 교차성비색, 코안의 분비물이증가하며 및 비강점막이 부어오르며, 그 병의 증세가 비교적 가볍다. * 일반적으로 내과적을 治法으로 볼 때 풍한외감과 풍열외감으로 참고할수 있음.(그러나 비과병증으로 볼 때 치료에 있어서 반드시 주의해야하고 장악해야 할 것은 매운 것은 따뜻한 것이 마땅하고 寒과凉을 삼가해야 한다는 특점이다, 중국의 북방지구는 가을,겨울에 중요함. 만약 寒하고 서늘한 음식을 과용하여 코의 비강안이 차고, 서늘하고,냉하여 血瘀 하여 痰이나 콧물이 국부에 응고되면 이것은 단순성 비염이 변하여 비후성비염이 된것이다. 본병의 주요병기(변증) 肺失宣降,이다.(해남성한의과대학 華良才敎授 記筆) 이런 表症이 있으면 解表위주에 있어며,해표증이 없을 때 宣降肺氣위주으로 치료한다. 2. 비후성비염의 주요임상표현: 지속적비색,비강조후해지고 혹은 고름의 분비물이 증가하고, 비강점막(특히 하비갑)이 비후성이 증가한다. 단순성비염보다 더 많은 치료가 요구된다. 또한 내외적치료를 겸하면 더 좋은 치료를 할수있다. 일반적으로 두종류의 유형이 있다. 1) 비강이 막히며,백색점액이 많다. 항상 인후부로 흘러내려감. 환자는 가래(담)이 많아지는 증상이 생긴다. 그리고 두훈,후각능력이 떨어진다. 비강검사: 양쪽하비갑에 비후해져 있음이 명확함, 회백색을 뛰며, 비강골에 백색점액이 많이있다. 변증: 肺氣虛弱宣降이 失司하거나 脾氣虛弱健運을 무력해 질 때 치료방법으로 雙補肺脾蠲涕通竅의 방법으로 치료한다. ,익기총명탕에 창이자산을 가한다. 2) 비강검사: 양쪽하비갑에 명확한 비후가 나타나고, 암홍색이고, 뒤쪽부위가 비후하면, 자홍색이 나타나며,표면은 평평하지 못하고, 형태는 버섯모양이고 비강 내에 점농성액이 있다. 변증: 기체혈어,담(체)응하여 콧구멍에 나타난다. 치법: 행체활혈,화어산결의 방법으로 치료한다. 또한 통규활혈장에 사향을 감하고,산자고와 천축황,익모초,가한다. 3. 위축성비염의 주요임상표현 ; 코막힘(비색),비강내에 고름이 나와 딱지가 형성되고, 인후가 건조해지며, 기침, 이명,이농등이 나타난다. 병의원인: 폐신음허로 콧구멍의 기능을 상실함. 치료: 쌍보폐신음의 방법으로 하고 양음청폐탕에 맥미지황환(택사와 복령을 뺴고)사용한다. 만약 코에서 악취가 나면, 폐신쌍휴(肺腎雙虧) 하여 폐경울열하면 청조구폐탕 (방중에 인삼을 사삼으로 바꾼다) 합 육미지황환(택사,복령을감하고) 柹霜(곶감의 거죽에 돋은 하얀가루),쌍피,을 가한다. 만약 황녹색의 고름이 있고, 두통이 심하면, 담경울열한 것으로 위의 처방에 기초하여 포공영을 가한다. 본 증상의 외과적 치료로 부스럼을 씻어내고, 아니면 참기름에 얼음을 용해해서 코에 떨어 뜨린다, 혹 백색꿀을 비강에 바른다. 하루에 여러 차례 가능함. 각종만성비염에는 분제을 흡입 사용하기에 적당치 않다. 특히 위축성비염에는 더더욱 않됨. 또한 비강를 더 건조시키는 것과 병을 가중하는 것을 예방한다. 치료: 만성단순성비염; 강활6,돌활6, 창출8,방풍10,승마10,백지10,갈근10,마황4,생황기10창이자10,신이10,세신3,생강,대추,파뿌리가감한다. 치료기간:1년 만성위축성비염: 생숙지15,사삼15,산수유10,생산약15,단피8,쌍엽10,포공영20,구비파엽10,생석고30,아교10,행인10,맥문동10,생감초6,흑백깨각10.익모초10 한첩에 3번달인다. 1~2번째는 내복하고, 3번째는 따뜻하게 해서 비강을 씻어준다. 비강 내에 꿀을 바르며, 매일 3~4번. 매운것 자극적인 식물은 삼가한다. 소고기,양고기,비닐있는 생선,음주도 삼가한다. 치료기간 3개월 두통, 코부스름,황녹색고름,및 악취, 비강점막이 습윤광택. 기간1년 후 복발이 없어짐. 만성비후성비염: 한의학에서는 비질이라는 범주에 속한다, 코막힘(鼻窒) 5가지 치료방법: 1.通竅,: 지속적인 비색(코막힘)이 주요증상이 환자의 고통이다. 그래서 치료의관건은 콧구멍을 통창시키는것이다. 내복약으로 창이산,암운산, 처방: 창이자,신이,백지,익모초,통초,창포,세신. 2.淸熱, : 증상: 나쁜 독기운이 폐경에 쌓여지며,열이생겨서 열기운이 계속적으로 덥게하여 비색이 생겨 근막종후해짐. 비근막색이 홍색혹은 암홍색이며 중후하며,황색콧물이 흐르고, 코막힘오래되어 질되고 기침가래담이 황색이고, 설견은 홍하고 어점이 있다. 태는 박하고 황색임. 폐경울열에 속함. 치법; 청세폐열, 선울도체. 처방: 황금청폐음: 처방: 황금,쌍백피,연교,갈근, 천화분,박하,방풍,생지,적작약,천궁,홍화등. 변비가 있는자는 생대황을 가한다. 3.蠲痹 : 증상: 비근막조홍종후,비갑비대,비색불감,체황점조, 양이 많고,머리가 멍하고 무겁다,태는 기름끼가 있고,황색이다. 처방: 습열비통규탕 : 황금,황련,의이인,통초,사향,사과로, 창이자, 적복령,백지, 창포, 신이,감초, 4.益氣 : 폐비기허,비실온양, 사체비규,하여 비근막염에 이르고 하얗게 두꺼워짐. 비갑이 비대해지고, 비색하여 후각이 떨어지고, 백색콧물을 흘리며,권태해지고 피곤에 진다, 쉽게 감기에 걸리며, 설담태백하고 맥온약함. 치법: 보익폐비,승청통규. 처방: 보중익기탕, 옥병풍산: 약용: 황기,당삼,백출,승마,갈근,방풍,창포,감초,대추등. ,5.活血.: 증상; 사독용체,옹갈맥낙,어조기혈, 하여 비질구색하고, 비근막홍종후, 비갑종, 실질경, 두민통,설암혹은 생어점. 치법; 활혈화어,통낙산결, 방제: 통규활혈탕. 처방: 도인,홍화,천궁,적작약,당귀,단삼,통초,백지,삼령,아출(봉출),지용.
'진단및 증상(Dise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lon Cancer [大腸癌] 腸毒”, “下焦濕熱”, “腸風”, “鎖肛痔 대장암 (0) | 2015.03.21 |
---|---|
Stomach Cancer (胃 癌) 위암. (0) | 2015.03.08 |
Menopausal disorder 갱년기 종합증( 更年期綜合症 ) (0) | 2013.10.25 |
침구과 : 구안와사(口眼歪斜) (0) | 2013.05.17 |
진료과목 (0) | 2012.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