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腸癌] 腸毒”, “下焦濕熱”, “腸風”, “鎖肛痔 대장암은 결장암과 직장암을 포함하며, 국내에 가장많이 나타나는 10가지 악성종괴중의 하나이다. 발병률과 사망률이 악성종괴중의 4~6위에 있다. 발병연령높은 40~50대, 남성이 여자보다 많고 비율로 보면 2:1이다. 대장암의 병인은 비교적 복잡하고, 일반적으로 대장의 만성염증,식육,대장선류,음식과 환경등 에 원인이 있다. 한의학에서는 본병은 飮食不節, 濕熱瘀毒,하여 안에 쌓여서 일어나는것이다라고 말한다. 중의학의 “腸毒”, “下焦濕熱”, “腸風”, “鎖肛痔”,등의 범주에 속한다.
[진단과감별진단] 1. 증세; 대장암발병초기에 특별히 부적당하거나 불명확한 것을 볼수있다. 그 당시 종괴가 발전하여 일정한 정도에 이르렀을 때 비로소 증세가 출현한다.
*) 직장암: 자주 볼수있는 증세로 혈변이 주로 나타나며,궤양혹 감염으로 인하여 증세를 자극한다.
1) 대변횟수가 많고, 하루에 3~5차례, 혹 더 많거나. 대변에 피가있고 점액이 있다, 변이 묽고, 혹은 변비가 있다. 또한 배변이 불결한 감이 있다.
2) 변혈, 대변에 피가 섞여있고 혹 선홍색혹은 암홍색이다.
3)종괴가 항문주의에 침범하여 혹은 직장의 수종,항문염증등 대변후 항문에 떨어지는 불편함이 있다. 배변이 불결하고, 점액변혹은 피고름변.
4) 종괴가 심부조직까지 침범하여, 미저골신경(고리뼈)에 까지 침범하여 통증을 유발한다.
5) 梗阻(막힘); 종괴가 발전하여 일정한 정도에서 腸腔이 막혀서 梗阻까지 야기 시킨다. 어떤때는 구멍이 나거나 뿐만 아니라 급복증으로 진료해야 한다. 남성환자의 종괴가 요도를 눌러서 터져서 배뇨가 곤란한 증상이 나타난다. 여성환자의 종괴가 음도을 뚤고 들어가 직장음도루가 형성되거나 출혈이 있다.
*) 右半結腸癌
. : 우반결장암의 괴체는 비교적 크다, 또한 쉽게 궤양성출혈과 감염이 발생한다. 그래서 腸道을 자극하는 증세가 있다. 만약 복부에 지속적인 통증이 있거나, 불규칙한 배변, 배변시 점액이 나온다. 또 다른 원인은 우반결장의 흡수능력이 강하여지고 명확한 중독증세가 생산되고, 피곤하고,발열과 몸이 수척해지고, 빈혈 및 체중감소등. 빈혈이 자주있는 환자는 돌발적인 증세이다. 우반결장 결장안이 크고 배변이 가늘고, 조기에는 막히는 증상이 무척 적다. 그러나 병의 상태는 발전하여 장이 막히는 증세가 나타난다, 특별히 불완전한 腸梗阻이다.
*) 左 半結腸癌: 좌반결장암은 침윤성선암,종괴가 비교적 적다,그러나 종괴가 주로장벽주위에부터 성장하여 장안쪽이 쉽게 협착되어 진다. 배변시 좌반결장이 점차적으로 건조해서 결을 이루어 형성되어 대변마찰로 병소를 만들어 명확한 변혈이 나타나고, 장의 막힘도 비교적 많이 나타난다. 장도가 증세를 자극하며, 만약 복통,대변습관이 변하면, 비교적 돌출되어있다. 병소는 갈수록 떨어지고, 증세는 갈수로 명확히 나타난다.
2. 병사: 만성장염,치질, 오랫동안 치료했지만 치료가 안되었을때. 선천적인 장도식육,선암,가족사. 평상시 음식습관 농후한 맛,단맛,을좋아하는것, 명확하지 않은 복통, 설사, 일반적인 방법으로 치료 효과가 없음. 지속적인 빈혈,체중감소가 일어남.
3. 쳬증: 환자는항상 복부포괴(혹,종괴)이 있으면 곧바로 진단을 해야한다. 종괴는 첫째로 종양에서 나타나며, 두번째로 장외부의 침입으로 반응성으로 자라나거나,혹 감염성 수종으로 일어난다. 임상에서 환자를 진단중 발견되는 종괴는 많게는 79%, 또는 서로 다른 정도의 막힘증세의 환자는 20%이다. 말기 대장암이 전이가 나타난후 쇄골상임파결종대 가 나타나고, 복부골임파결종대, 복수등 체증이 나타난다.
4. 임상분기.분형: 0기: 조직학으로 원위암.1a기: 암근부에 점막혹 점막하층, 임파결이 아닌 혹 먼곳으로 전이. 1b기: 암세포가 근육층에 침범하고,강막에는 못미치는 임파결이 아닌 ,혹 먼곳으로 전이
2기 암세포가 장벽을 뚥고 나가거나, 강막으로 들어갈 때, 임파결이 없는 , 혹 먼곳으로 전이
3기: 어느곳이든 깊게 장벽을 침범하거나, 임파결전이가 있음, 혹 가까운곳으로 전이
4기: 어떠한 부위에든 장벽으로 침범되었거나, 임파결전이가 있거나 없음, 그러나 먼곳으로 전이가 된 상태.
*분형:
1)대장암은 크게
*)종괴형,종양이 장안에서 성장하거나, 암세포가 비교적 크고,공모양혹은 반달모양의 암세포의 중간에 궤양이 있다. 침윤성이 작고, 예후가 비교적 좋다. 우측에 잘 발생하며, 특별히 맹장에서 자주 볼수있다.
*) 침윤형, 암조직은 주로 장벽에 침윤되어 성장한다. 섬유조직반응이 비교적 많고, 주로 장이 협착한 것을 야기 시킴, 또한 막힘을 일으킨다. 전이가 비교적 이르다. 좌측결장에 발생하는 이장결장(S상결장)혹 이장결장과 직장의 교차되는곳에서 많이 발생한다.
*) 궤양형, 특징은 장벽의 심부층에서 성장하며, 주위에 침윤되어있고, 조기에 궤양이 있다, 둘레가 솟아 올라 있는모양이며, 기저부 심부는 함몰되어있고, 쉽게 출혈을 하고, 감염혹 장이 뚤려 구멍이 형성되어있다. 비교적 전이가 빠르고, 주로 좌측결장및직장에서 많이 볼수있다.
2)대장암의 조직학분형: 선암, 점액암, 미분화암,이 있다.
3)전이부위 및 파산도경: 대장암은 직접적으로 침윤,종식,임파도 및 혈도 4가지의 경로 퍼진다, 주로 전이부위에 복강임파결,복막,간,폐등이 있다.
5. 감별진단:
결장암과 결장염성질병, 만약 장결핵, 혈흡충병육아종,아미바육아종, 궤양성결장염, 결장식육병등, 서로 감별한다.
감별요점: 병의 기간이 길고 짧은것과 배변검사 기생충,패관장,으로 볼수있는 병의변화와 형태로 범위를 진단한다.
가장좋은 방법중 결장내시경으로 활검하는것이다. 직장암과 내,외치질의 감별, 직장내시경을 통해 명확히 진단한다.
한의한적 변증:
1) 습열온결:
복부에 점차적으로 통증이 있고, 치질이 적백색을 뛰고,배변전 급하면서 후에는 무거운 느낌. 발열, 항문이 화끈거림, 가슴이 답답하고, 근심이 갈하고, 헛구역질, 받아들이지 못함(음식) 대변횟수가 많고 5~6회/일, 배변이 불결한느낌, 아랫배가 더부룩하고, 설홍, 태 황,기름지며, 맥: 활,삭
치법: 淸熱利濕.
방제: 회화지유탕(회화나무&느릅나무).가감.
처방: 회화9,지유9,패장초30,황백10,마치현30,의이인30
2) 瘀毒交阻:
번열구갈, 치질에 피고름이 나온다. 里急後重, 복부에 지속적을 자통이 있다. 항문에 떨어지는 뜻한 팽창감. (추장감), 설 암적색, 태 황, 혹 설변에 어혈반점이 있다. 맥 세,수.
치법: 化瘀解毒
방제: 도홍사물탕 가감.
처방: 당귀미5,적작약15, 도인9,홍화6,은화30,패장초30, 천궁10,단삼12.
3) 비신양허:
사지가 차고 변은 묽고, 기가 작고, 말이적고, 두훈,피로,복통이 있고 따뜻한 것을 좋아한다. 설사,면색황백, 설담홍, 두껍고, 치흔이 있다. 태백, 맥, 심세,약,
치법: 온보비신.
방졔: 삼령백출산 및 사신환 가감..
처방: 인삼12,백출10, 복령15,감초6,편두10,산약15,의이인30,연자12,사인6,보골지15,육두고15,오수유10,오미자6,생강10.
4) 간신음허:
두훈,목현, 오심번열, 입이 쓰고 목이 마르고, 요슬산통, 조열도한, (3~5시에열이남) 마음이 번잡하고 쉽게 화를 내고, 정신적 피로, 조루와 유정, 잠을 못자고 불안함, 대변 결하고, 설 홍, 태 황, 적은편, 맥 세,삭
치법: 자보간신
방제; 육미지황탕 가감.
처방: 숙지15,산약15,택사9 복령15,산수유15, 단피9,
5) 기혈쌍휴:
호흡이 짧고 무력하며, 변이 묽고, 기가 약하고 말도 적다, 위가 약하여 잘 못 먹는 것이 적고 더부룩함. 면색은 조금 황색을 뛴다. 사지에 부종이 있고 몸은 가늘고, 복부는 북같고, 근이 당기며, 탈장하여 밑으로 나와있고, 설담.태백, 맥 심.세.
치법: 보익기혈.
방제: 팔진탕가감.
처방: 당귀10,천궁6,백작약10,숙지15,인삼6,백출10,복령15,구감초5. 입이마르고,입이쓰고, 설태가 황색인 환자는 인삼을 뺴고, 황기30,황연3을 가한다, 변이 묽은자는 산약15 의이인30을 가하여 건비지사한다. 배가 더부룩한자는 후박12,가하고, 탈강한자 구황기30,승마6,가하고 복수가 있고, 사지에 부종이 있는자는 의이인30, 차전자,차전초각 30,용계15을 가하여 이뇨하고 복수를 소멸한다.
*)임상경험:
본병병기는 근본이 허하고 겉이 실하여 습열독이 쌓여서 결하여 종괴로 표출되어 비신휴허하고 정기부족이 근본적인 원인이다. 치료과정중 근본과 표증을 고려하여야 한다. 대장암초기는 주로 습열어독증이 주를 이루고, 중요한것은 사기를 제거하고, 열을 내리고, 습을 다스리고, 해독하여 어혈를 제거하는 치료가 방법이 다. 중기에는 허와실이 협잡하여 순차적으로 바르게 다스리고 사기를 제거것을 고려해야 하며, 말기환자는 신비양허하고 기혈쌍휴하며, 간신음허등의 허증위주이다. 치료시 바르게 잡는것에 중점을 두고, 비,간,신장 이 세 장부에 분별되게 온보비신하고 자보간신,보익기혈의 치료방법으로 한다. 대장암수술후 화학요법을 행하는자는 동시에 익기양혈로 같이 배합하여 치료한다. 건비화위하고 자보간신으로 중약으로 다스리며, 화학요법으로 일어나는 부작용을 (골수억제 및 소화도)감소 시킨다,. 화학치료하는 중간에 변증치료를 병행하여 다스리며 청열해독,결한것을 흩어지게하고 연하게 한다. 등등 항암적인 본초약 처방으로 치료를 돕는다. 항대장암의 중약 및 상용되는 적당량은 패장초30,연자육9,오매6~9여전자15,의이인30,,백화사설초30,목별자인10, 반지연30,택사10,확도수지30,산자고10,하고초10,초하차10,철수엽30,육종용30,토복령30,회각10,석류피10,마치현30,고삼15,우송9,
[예방 및 강복]
1) 여러가지 대장암의 원인을 제거하고 대장의 양성병변을 조기에 치료한다.
2) 환자는 정기적 검사와 이상반응시 항상 의사에게 검사를 받아야 하고, 조기진다,조기치료를 해야한다.
3) 음식의 원칙: 장암의조기에 항상 변비 혹은 설사, 혹은 양자가 교차하며 출현하고 그래서 대변의 조절을 중시한다. 다량의 섬유질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고, 채소,바나나,감자,고구마,등 그러나 딱딱하고,거칠거칠한 음식 과한 것을 피한다. 이렇게 하여 대변이 적당량을 배출하도로하고 변비를 에방한다. 또한 일정한 정도에서 설사도 방지한다. 그리고 매일같이 배변을 볼수 있도록 유지한다. 대장암 말기에 대다수가 대장이 막히는 증상이 있다. 이시기는 양을 줄이고 큰음식은 먹지 않고, 섬유소도 적게 영양소는 풍부한 음식을 먹는다. 또 다른 변비을 방지하기 위해, 계란종류,비계가 없는 살코기,유제품,두(콩)제품, 채소와 약간의 대변을 통하게 하는 꿀, 마유(아마씨오일) 등이 있다. 대장암환자는 절대 맵운 음식을 금지하고 술,커피도 안된다.
4) 정확한 병의 증상확보, 심정이 헤이해지는 것을 주의하고 질병과 싸워이길수 있다는 신심을 수립하고, 적절한 각종치료방법을 배합하여 치료한다.
5) 정기검사: 장기치료을 지속적으로 하고 재발과 먼곳으로 전이되는 것을 예방한다.
'진단및 증상(Dise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관성치매(다발경색성 치매,MID)[呆病,痴呆,善忘,癲狂,鬱症 ] (0) | 2015.04.11 |
---|---|
Diabetic 당뇨병(消渴) (0) | 2015.03.29 |
Stomach Cancer (胃 癌) 위암. (0) | 2015.03.08 |
Menopausal disorder 갱년기 종합증( 更年期綜合症 ) (0) | 2013.10.25 |
침구과 : 구안와사(口眼歪斜) (0) | 2013.05.17 |